24 절기
7.입하(立夏)
24절기의 일곱 번째 절기. 음력으로는 4월절(四月節), 양력 5월 5~6일경으로, 곡우(穀雨)와 소만(小滿) 사이에 든다. 태양의 황경(黃經)이 45도 때. '여름에 든다.'는 뜻으로 초여름의 날씨를 보인다. 여름은 立夏(입하)에서부터 시작하여 立秋(입추)전까지이다. 옛사람들은 입하 15일간을 5일씩 3후(候)로 세분하여, 초후(初候)에는 청개구리가 울고, 중후(中候)에는 지렁이가 땅에서 나오며, 말후(末候)에는 왕과(王瓜: 쥐참외)가 나온다고 하였다. 이맘때면 곡우에 마련한 못자리도 자리를 잡아 농삿일이 좀더 분망해진다. 여름이 다가온 것을 알리는 입하는 신록을 재촉하는 절기이다. 입하가 되면 농작물도 자라지만, 아울러 해충도 많아지고 잡초까지 자라서 이것들을 없애는 작업도 많다. 송파지역에서는 세시행사의 하나로 입하 무렵 쑥무리를 절식(節食)으로 마련하기도 한다.
곡우전후에 채다한 세작을 茶(차)중에서도 최상품으로 치나, 한국의 茶聖(다성), 초의(艸衣)선사는 '우리의 차(茶)는 곡우 전후보다는 입하(立夏) 전후가 가장 좋다'고 하였다.
8.소만(小滿)
24절기의 여덟 번째 절기. 입하와 망종 사이에 들며, 음력 4월, 양력 5월 21일께가 된다.
태양이 황경 60도의 위치에 올 때이다.
만물이 점차 생장(生長)하여 가득 찬다(滿)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이때부터 여름 기분이 나기 시작하며 식물이 성장한다.
소만 무렵에는 모내기 준비에 바빠진다. 이른 모내기, 가을보리 먼저 베기 작업들에, 여러가지 밭농사의 김매기들이
줄을 잇게 된다.
모판을 만들면 모내기까지 모의 성장기간이 옛날에는 45∼50일이 걸렸으나, 지금의 비닐모판에서는 40일 이내에 충분히 자라기 때문에 소만에 모내기가 시작되어 1년 중 제일 바쁜 계절로 접어들게 된다.
옛날 중국에서는 소만 입기일(入氣日)로부터 망종까지의 시기를 다시 5일씩 삼후(三候)로 등분하여, 초후(初候)에는 씀바귀가 뻗어오르고, 중후(中候)에는 냉이가 누렇게 죽어가며, 말후(末候)에는 보리가 익는다고 했다.
씀바귀는 꽃상추과에 속하는 다년초로서 뿌리나 줄기, 잎은 이무렵 식용으로 널리 쓰인다.
초후를 전후하여 즐겨 시식하는 냉잇국도 늦봄 내지는 초여름의 시절식으로 예로부터 유명하다.
초후를 전후하여 죽순(竹筍)을 따다 고추장이나 양념에 살짝 묻혀 먹는다.
시절식으로 참 좋은 별미이다.
또한 즐겨 시식하는 냉잇국도 늦봄 내지는 초여름의 시절식으로 예로부터 유명하다.
보리는 말후를 중심으로 익어 밀과 더불어 여름철 주식을 대표한다.
모든 산야가 이토록 푸른데 대나무만큼은 푸른 빛을 잃고 누렇게 변한다.
이는 새롭게 탄생하는 죽순에 자기의 영양분을 공급해주었기 때문이다.
마치 어미가 자기 몸을 돌보지 않고 어린 자식에게 정성을 다하여 키우는 모습을 본 듯하다.
그래서 봄의 누래진 대나무를 가리켜 죽추(竹秋)-'대나무 가을'라 한다.
9.망종(芒種)
24절기의 아홉 번째 절기. 소만과 하지 사이에 들며, 음력 4, 5월, 양력 6월 6, 7일께가 된다.
태양의 황경(黃經)이 75도에 달한 때이다.
옛 사람들은 망종을 5일씩 끊어서 3후(三候)로 나누었는데, 초후(初候)에는 사마귀가 생기고, 중후(中候)에는 왜가리가 울기 시작하며, 말후(末候)에는 지빠귀가 울음을 멈춘다 하였다.
망종이란 벼, 보리 등 수염이 있는 까끄라기 곡식의 종자를 뿌려야 할 적당한 시기라는 뜻이다.
이 시기는 옛날에는 모내기와 보리베기에 알맞은 때였다.
그래서 '보리는 익어서 먹게 되고, 볏모는 자라서 심게 되니 망종이요',
'햇보리를 먹게 될 수 있다는 망종'이라는 말도 있다.
'보리는 망종 전에 베라'는 속담이 있듯이 망종까지는 모두 베어야 논에 벼도 심고 밭갈이도 하게 된다.
망종을 넘기면 바람에 쓰러지는 수가 많기 때문이다.
지금은 비닐 모판에서 모의 성장기간이 10일 정도 단축되었기 때문에, 한 절기 더 앞선 소만 무렵에 모내기가 시작된다. 특히 모내기와 보리베기가 겹치는 이 무렵의 바쁜 농촌의 상황은 보리농사가 많았던 남쪽일수록 더 심했고, 보리농사가 거의 없던 북쪽은 상황이 또 달랐다.
남쪽에서는 이 때를 '발등에 오줌싼다'고 할 만큼 1년 중 제일 바쁜 때였다.
전라남도와 충청남도, 제주도에서는 망종날 하늘에서 천둥이 요란하게 치면 그해 농사가 시원치 않고 불길하다고 한다. 경상남도 도서지방에서는 망종이 늦게 들어도 안 좋고 빠르게 들어도 안 좋으며 중간에 들어야 시절이 좋다고 한다.
특히 음력 4월 중순에 들어야 좋다고 하며, 또 망종이 일찍 들면 보리농사에 좋고, 늦게 들면 나쁘다는 말도 있다.
망종날 풋보리 이삭을 뜯어 와서 손으로 비벼 보리알을 모은 후 솥에 볶아서 맷돌에 갈아 채로 쳐 그 보릿가루로 죽을
끓여 먹으면 여름에 보리밥을 먹고 배탈이 나지 않는다고 한다.
제주도 지역에서는 망종이 일찍 들면 그해 보리가 좋고 늦게 들면 보리가 좋지 않다고 하며 또 이날 우박이 내리면 시절이 좋다고 한다.
[보리 그스름]
전라남도 지방에서는 망종날 '보리 그스름'이라 하여 아직 남아 있는 풋보리를 베어다 그스름을 해 먹으면 이듬해 보리 농사가 잘 되어 곡물이 잘 여물며 그해 보리밥도 달게 먹을 수 있다고 한다.
또한, 이 날 보리를 밤 이슬에 맞혔다가 그 다음날 먹는 곳도 있다.
이렇게 하면 허리 아픈 데 약이 되고 그 해를 병 없이 지낼 수 있다고 믿는다.
[망종보기]
망종이 일찍 들고 늦게 들음에 따라 그해 농사의 풍흉을 점친다. 음력 4월내에 망종이 들면 보리농사가 잘되어 빨리
거두어 들일 수 있으나 5월에 망종이 들면 그해 보리농사가 늦게 되어 망종내에도 보리수확을 할 수 없게 된다고 한다.
10.하지(夏至 )
24절기의 열 번째 절기. 망종과 소서 사이에 들며, 음력으로 5월, 양력으로 6월 21일께가 된다.
해가 황도의 하지점을 통과하는 날.
태양은 황도상에서 가장 북쪽에 위치하게 되는데, 그 위치를 하지점(夏至點)이라 한다.
북반구에 있어서 낮이 가장 길며, 정오의 태양 높이도 가장 높고, 일사 시간과 일사량도 가장 많은 날이다.
북극지방에서는 하루 종일 해가 지지 않으며, 남극에서는 수평선 위에 해가 나타나지 않는다.
동지에 가장 길었던 밤시간이 조금씩 짧아지기 시작하여 이날 가장 짧아지는 반면, 낮시간은 14시간 35분으로 1년 중
가장 길다.
옛 사람들은 하지 15일간을 5일씩 끊어서 3후(候)로 나눠서, 초후(初候)에는 사슴의 뿔이 떨어지고, 중후(中候)에는
매미가 울기 시작하며, 말후(末候)에는 반하(半夏)의 알이 생긴다고 했다.
남부지방 농촌에서는 단오를 전후하여 시작된 모심기가 하지 이전이면 모두 끝난다.
강원도지역에서는 파삭한 햇감자를 캐어 쪄먹거나 갈아서 감자전을 부쳐 먹는다.
옛날 농촌에서는 흔히 하지가 지날 때까지 비가 오지 않으면 기우제를 지냈다.
충청북도 단양군 대강면 용부원리의 예를 들면, 하지까지 기다려도 비가 오지 않을 때 이장이 제관이 되어 용소(龍沼)에 가서 기우제를 지낸다. 제물로는 개나 돼지 또는 소를 잡아 그 머리만 물 속에 넣는다.
그러면 용신(龍神)이 그 부정함을 노하여 비를 내려 씻어 내린다고 믿는다. 머리만 남기고 나머지는 삶아서 기우제에
참가한 사람들이 함께 먹는다.
충청북도 중원군 엄정면 목계리의 경우, 이장이 제관이 되어 한강지류의 소(沼) 속에 있는 용바위에서 소를 잡아 용바위에 피를 칠하고 소머리만 소 속에 넣는다.
이때 흔히 키로 물을 까불어서 비가 내리는듯한 유사주술적인 동작도 한다.
11.소서(小暑)
24절기의 하나로 열 한 번째 절기. 하지와 대서 사이에 들며, 음력 6월, 양력 7월 7일이나 8일께가 된다.
태양이 황경 105도의 위치에 있을 때이다.
옛 사람들은 소서 15일간을 3후(三侯)로 나누어서, 초후(初候)에는 더운 바람이 불어오고, 중후(中候)에는 귀뚜라미가 벽에 기어다니며, 말후(末候)에는 매가 비로소 사나워진다고 하였다.
이 시기에는 장마전선이 우리나라에 오래 자리잡아 습도가 높아지고, 장마철을 이루는 수가 많다.
예전에는 한 절기 앞선 하지 무렵에 모내기를 끝내고, 모를 낸 20일 뒤 소서 때는 논매기를 했으나, 지금은 제초제를
뿌리고 논김은 매지 않는다.
팥, 콩, 조들도 가을보리를 한 하지 무렵에 심고, 소서 무렵에 김을 매준다.
또, 이때 퇴비 장만과 논두렁의 잡초깎기도 한다.
소서를 중심으로 본격적인 더위가 시작되므로 온갖 과일과 소채가 풍성해지고 밀과 보리도 먹게 된다.
음력 5월 단오를 전후하여 시절식으로 즐기는 밀가루음식은 이맘 때 가장 맛이 나며, 소채류로는 호박, 생선류는 민어가 제철이다. 민어는 조림, 구이, 찜이 다 되지만 이 무렵에는 애호박을 넣어 끓인다.
특히, 민어고추장국과 회의 맛이 두드러진다.
애호박에서 절로 단물이 나고 민어는 한창 기름이 오를 때여서 그 국은 고추장 특유의 매운 맛이면서도 단물이 흥건히 괴어 맵고 달콤한 맛이 첫 여름의 입맛을 상큼하게 돋우어준다.
12.대서(大暑)
24절기의 열두 번째 절기. 소서와 입추 사이에 들며, 음력으로는 6월중, 양력으로는 7월 23일 경이다.
태양의 황경(黃經)이 120도에 이르는 계절. 일년 중 제일 더운 때(大暑)라서 지어진 이름이다.
이 시기는 대개 중복(中伏) 때이며 더위가 심한 시기이다.
옛날에는 논의 김을 매어주었으나 지금은 제초제를 뿌리고 논김은 매지 않는다.
그러나 밭김은 매어주고 논밭두렁의 잡초베기와 퇴비장만 등이 이 무렵에 계속된다.
옛날 중국에서는 대서 입기일(入氣日)로부터 입추까지의 기간을 5일씩 끊어서 삼후(三候)로 하였는데,
초후(初候)에는 썩은 풀이 변하여 반딧불이 되고, 중후(中候)에는 흙이 습하고 무더워지며, 말후(末候)에는 큰비가
때때로 내린다고 하였다.
이 무렵에는 몹시 더우며, 소서 때로부터 장마전선이 한반도에 동서로 걸쳐 큰 장마를 이루는 때가 자주 있다.
또한, 참외나 수박 등이 풍성하고 햇밀과 보리를 먹게 되고 채소가 풍족하며 녹음이 우거지는 시기로, 과일은 이때가
가장 맛이 난다.
그러나 비가 너무 많이 오면 과실의 단물이 없어지는 반면 가물었을 때 과실맛이 난다고 한다.
특히 수박은 가뭄 뒤에 가장 제맛을 낸다.//
'생활에지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윤년, 윤달, 윤일이란 (0) | 2014.02.04 |
---|---|
1년 24 절기중에서 겨울,(立冬).(小雪).(大雪).(冬至).(小寒).(大寒) (0) | 2014.02.03 |
1년 24 절기중에서 가을, (立秋).(處暑).(白露).(秋分).(寒露).(霜降) (0) | 2014.01.31 |
1년 24 절기중에서 봄 ,(立春). (雨水). (驚蟄). (春分) . (淸明) . (穀雨) (0) | 2014.01.29 |
설 차례상 차리는 법 (0) | 2014.01.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