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용도로로 수용된 토지, 낙찰
토지는 각 필지 별로 도달할 수 있는 통행로가 반드시 존재해야 한다는 성질 때문에 소유권자가 엄연히 있음에도 불구
하고 공용도로로서의 성격을 갖게 되는 경우가 빈번하다.
토지의 원소유자가 토지를 매매하면서 그 중앙 부분을 통행로로 무상 제공한 경우가 여기에 해당되는데, 당시에는 문제가 없었
을지 몰라도 차후 소유자 사정이 어려워져 이 중앙을 포함한 토지가 경매물건으로 나올 경우 분란의 소지로 작용할 여지가 있다는 점에서 주의가 요구된다.
즉, 낙찰받은 후에는 통행로로서의 목적을 용도 폐기하고 낙찰자의 수익 사용이 가능할 것이라는 예측 때문에 입찰에 나서는
경우가 있는데 이 부분에 대한 법원 판단이 예측과 다를 가능성이 크다는 것이다.
오늘 소개할 판례는 이처럼 공용로로 수용된, 또는 제공된 토지를 공매나 경매로 낙찰 받았을 때 낙찰자가 사용수익 권리를 주장할 수 있는가에 관한 것이다.
경매 초심자들의 경우 모르고 낙찰받을 수 있기 때문에 읽어두면 차후 물건을 고르는 데 필요한 기준을 강화할 수 있을 것이다.
A씨는 소유한 토지를 팔기로 결심하고 이를 여러 조각으로 분할했다.
A씨는 각 토지에 도달할 수 있는 통행로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를 택지로 매각했다.
이때 통행로에 대해서는 사용료 청구 같은 사실 없이 도로 부지로 무상 제공해 인근 주민들이 사용하도록 했다.
시간이 지나 A씨는 국세를 체납했고 결국 A씨 소유였던 이 통행로 토지는 공매로 넘어갔다.
이 토지를 낙찰받은 것은 B씨였다.
B씨는 물건 공매에 참여해 낙찰받는 데 성공, 2010년 7월 이 토지의 소유권을 자신 앞으로 이전했다.
소유권이전등기 시점에서 얼마 지나지 않은 2010년 8월 4일, B씨는 토지 소재지의 지자체를 상대로 부당이득반환청구의 소를
제기했다.
B씨는 토지를 무상 제공한 것은 전 소유주일 뿐, 공매 낙찰을 통해 소유주가 변경됐기 때문에 본인의 사용수익권을 보장 받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에 지자체는 당해 토지의 경우 배타적 사용수익권이 포기된 것이라며 맞섰다.
이에 대해 원심은 B씨에게 일부 승소 판결을 내렸다.
원심은 B씨가 공매절차를 통해 토지를 취득한 것을 ‘특정승계’라 보고 임료 상당의 반환청구를 할 수는 없지만 A씨의 토지 사용수익권 포기와 무관하게 앞으로는 B씨가 이 토지의 사용수익권을 행사할 수 있다고 판결했다.
B씨의 기쁨도 잠시, 이어 열린 상고심에서 대법원은 지자체 패소 부분을 파기하고 사건을 다시 심리하라며 원심법원으로 환송
하는 결정을 내렸다.
대법원은 판결문을 통해 “토지의 원소유자가 토지 일부를 도로 부지로 무상 제공함으로써 이에 대한 독점적이고 배타적인 사용
수익권을 포기하고 이에 따라 주민이 그 토지를 무상으로 통행하게 된 이후에 그 토지의 소유권을 경매, 매매, 대물변제 등에
의하여 특정승계한 자는 그와 같은 사용·수익의 제한이라는 부담이 있다는 사정을 용인하거나 적어도 그러한 사정이 있음을
알고서 그 토지의 소유권을 취득하였다고 보는 것이 타당하다”고 판결했다.
대법원은 이어 “따라서 도로로 제공된 토지 부분에 대해서는 독점적이고 배타적인 사용수익권을 행사할 수 없고 지방자치단체가 그 토지 일부를 도로로서 점유·관리하고 있다 해도 특정승계인에게 어떠한 손해가 생긴다고 할 수 없으며 지방자치단체도 아무런 이익을 얻은 바가 없으므로 특정승계인은 부당이득반환청구를 할 수 없다”고 결론을 내렸다.
<대법원 2012다26411>
이번 판결을 통해 알 수 있는 것은
▲ 통행로로 무상제공돼 지자체가 공용으로 사용 중인 토지는 소유권의 존재와 주체가 명확하다고 해도 배타적 사용수익권을
포기한 것으로 간주되며
▲ 이는 소유주가 변경되더라도 낙찰자나 지자체 모두에게 손해나 이익이 없어 여전히 유효하다는 점이다.
살펴본 바와 같이 이런 물건은 낙찰받은 후 처분할 때 애먹을 공산이 크다.
문제는 그 토지물건 자체에 이 같은 ‘과거지사’가 있었다는 사실을 어떻게 알아내느냐인데,
현재로선 임장이 가장 정답에 근접해 있다.
직접 물건을 보고 주변 조사 등을 통해 알아내야 한다는 것이다.
경매계에 따라 이 같은 사정이 감정평가서나 매각물건명세서에 기재돼 있을 수 있지만 안 그런 케이스 또한 있을 수 있으므로
입찰자 입장에서는 이미지 정보를 먼저 확인해보고 감정평가서와 물건명세서를 뒤져본 뒤 해당 경매계에 확인 전화까지 해본
후 임장에 나서는 신중함이 필요하다.//
------------------------------------------------------------------------------------------------------------
대법원 2012.7.12. 선고 2012다26411 판결 【부당이득금반환】
[미간행]
|
[1] 토지의 원소유자가 토지 일부를 도로부지로 무상 제공한 뒤 그 토지의 소유권을 경매 등에 의해 특정승계한 사람이, 토지 일부를 도로로 점유·관리하고 있는 지방자치단체를 상대로 부당이득반환을 구할 수 있는지 여부(소극)
[2] 갑이 토지를 분할하여 중앙에 있는 토지를 제외한 나머지 토지들을 택지로 매도하고 중앙에 있는 토지는 분할·매도한 토지들로부터 공로에 이르는 유일한 통행로로 무상 제공하였는데, 그 후 중앙에 있는 토지를 공매절차에서 매수한 을이 사실상 지배주체로서 토지를 점유해 온 지방자치단체를 상대로 부당이득반환을 구한 사안에서, 갑이 위 토지에 대한 사용수익권을 포기하였고 을도 그러한 사정을 용인하거나 알면서 토지를 취득하였다고 볼 여지가 많은데도, 을이 갑의 포기와 무관하게 사용수익권을 행사할 수 있다는 전제하에 위 청구를 일부 인용한 원심판결에 법리오해의 위법이 있다고 한 사례
【참조조문】
[1] 민법 제211조, 제741조 / [2] 민법 제211조, 제741조
【참조판례】
[1] 대법원 1998. 5. 8. 선고 97다52844 판결(공1998상, 1583), 대법원 2011. 5. 26. 선고 2010다84703 판결
【전 문】
【원고, 피상고인 겸 상고인】 원고 (소송대리인 변호사 이은희 외 1인)
【피고, 상고인 겸 피상고인】 서울특별시 마포구 (소송대리인 법무법인 대종 담당변호사 정봉현)
【원심판결】 서울서부지법 2012. 2. 2. 선고 2011나4111 판결
【주 문】
원심판결 중 피고 패소 부분을 파기하고, 이 부분 사건을 서울서부지방법원 합의부에 환송한다. 원고의 상고를 기각한다.
【이 유】
상고이유를 판단한다.
1. 피고의 상고이유에 대하여
가. 원심판결 이유에 의하면, 원심은 그 채용 증거를 종합하여 판시 사실을 인정한 다음, 피고가 사실상 지배주체로서 이 사건 토지를 도로로 점유·사용하고 있다고 보는 한편 원소유자가 위 토지에 관한 사용수익권을 포기하여 이를 도로로 점유하는 피고에 대한 임료 상당의 부당이득반환청구를 할 수 없다고 볼 여지가 충분하다고 하면서도, 원고가 공매절차에서 위 토지를 취득한 경위 등 그 판시와 같은 사정에 비추어, 특정승계인인 원고가 원소유자의 사용수익권 포기와 무관하게 피고를 상대로 사용수익권을 행사할 수 있어 피고에게 그 점유에 따른 부당이득반환청구를 할 수 있다는 취지로 판단하여 피고의 배타적 사용수익권 포기 항변을 배척하였다.
나. 그러나 피고의 배타적 사용수익권 포기 항변을 배척한 원심 판단은 다음 이유로 수긍하기 어렵다.
1) 토지의 원소유자가 토지 일부를 도로 부지로 무상 제공함으로써 이에 대한 독점적이고 배타적인 사용수익권을 포기하고 이에 따라 주민이 그 토지를 무상으로 통행하게 된 이후에 그 토지의 소유권을 경매, 매매, 대물변제 등에 의하여 특정승계한 자는 그와 같은 사용·수익의 제한이라는 부담이 있다는 사정을 용인하거나 적어도 그러한 사정이 있음을 알고서 그 토지의 소유권을 취득하였다고 보는 것이 타당하므로 도로로 제공된 토지 부분에 대하여 독점적이고 배타적인 사용수익권을 행사할 수 없다. 따라서 지방자치단체가 그 토지 일부를 도로로서 점유·관리하고 있다고 하더라도 특정승계인에게 어떠한 손해가 생긴다고 할 수 없으며 지방자치단체도 아무런 이익을 얻은 바가 없으므로 특정승계인은 부당이득반환청구를 할 수 없다( 대법원 1998. 5. 8. 선고 97다52844 판결, 대법원 2011. 5. 26. 선고 2010다84703 판결 등 참조).
2) 원심이 적법하게 확정한 사실 및 그 채용 증거에 의하면, 소외인은 환지 받은 토지를 분할하여 그 중앙에 있는 이 사건 토지를 남겨두고 나머지 토지를 택지로 매도한 사실, 이 사건 토지는 분할·매도된 나머지 토지들로부터 공로(공로)에 이르는 유일한 통행로로 무상 제공되어 인근 주민이 통행로로 이용한 사실, 그 후 피고가 이 사건 토지에 매설된 하수관로 확장 공사를 하는 등으로 사실상 지배주체로서 위 토지를 점유하게 된 사실, 이 사건 토지는 소외인 명의로 있다가 공매처분되어 원고가 이를 낙찰받아 2010. 7. 15. 소유권이전등기를 마친 직후인 2010. 8. 4. 피고를 상대로 이 사건 부당이득반환청구 소송을 제기한 사실 등을 알 수 있다.
3) 사실관계가 이와 같다면, 원소유자인 소외인은 환지 받은 토지를 분할 매각할 당시에 이 사건 토지를 매각 토지의 공로 출입을 위한 통행로로 무상 제공함으로써 그에 대한 배타적 사용수익권을 포기하였다 할 것이고( 대법원 1996. 4. 12. 선고 95다3619 판결 참조), 그 이후 원고는 공매절차에서 위와 같은 사용·수익의 제한이라는 부담이 있다는 사정을 용인하거나 적어도 그러한 사정이 있음을 알고서 이 사건 토지를 취득하였다고 봄이 타당하므로 원고에게 어떠한 손해가 생긴다고 할 수 없으며 지방자치단체인 피고도 아무런 이익을 얻은 바 없다고 볼 여지가 많고, 이러한 경우 특정승계인인 원고는 피고가 사실상 지배 주체로서 이 사건 토지를 점유하고 있더라도 피고에게 그로 인한 부당이득반환청구를 할 수 없다고 할 것이다.
4) 원심이 원고가 원소유자의 사용수익권 포기와 무관하게 피고를 상대로 사용수익권을 행사할 수 있다는 근거로 인용한 대법원 2009. 3. 26. 선고 2009다228, 235 판결은 토지 소유자가 소유권에 기한 물권적 청구권을 행사하여 건물 철거와 토지 인도를 구하는 사안에 관한 것이고, 대법원 2009. 7. 9. 선고 2007다83649 판결은 토지 등 소유자가 재개발사업의 관리처분계획 인가·고시 전에 사업시행자로 하여금 사업시행을 위해 공사를 진행할 수 있도록 토지 등의 사용을 승낙한 사안에 관한 것이다. 원심이 인용한 위 대법원판결들은, 원소유자가 토지를 도로로 무상 제공하여 그에 관한 배타적 사용수익권을 포기한 이후에 이를 특정승계한 자가 사실상 지배주체로서 토지를 점유하고 있는 지방자치단체를 상대로 부당이득반환청구를 구하는 이 사건과 사안을 달리하므로 이 사건에 원용하기에 적절하지 아니하다.
5)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와 다른 전제에서 원심은 그 판시와 같은 사정만으로 원고의 부당이득반환청구를 일부 인용하였는바, 이러한 원심판결에는 지방자치단체가 사실상 도로로 점유하고 있는 토지에 대한 소유자의 사용수익권 포기에 관한 법리를 오해하여 판결에 영향을 미친 위법이 있다. 이 점을 지적하는 상고이유 주장은 이유 있으므로 피고의 나머지 상고이유 주장에 관하여 판단할 필요 없이 피고의 상고는 이유 있다.
2. 원고의 상고이유에 대하여
위에서 본 바와 같이 원소유자가 이 사건 토지의 독점적이고 배타적인 사용수익권을 포기하였고, 원고가 위 토지의 사용·수익이 제한된다는 부담이 있다는 사정을 용인하거나 적어도 그러한 사정이 있음을 알고서 소유권을 취득하였다고 봄이 타당하여 피고의 점유로 인하여 원고에게 어떠한 손해가 생긴다고 할 수 없다고 볼 여지가 많은 이상, 원심판결 중 원고 패소 부분에 관한 원고의 상고는 그 상고이유 주장을 판단할 필요 없이 이유 없다.
3. 결론
그러므로 원심판결 중 피고 패소 부분을 파기하고, 이 부분 사건을 다시 심리·판단하게 하기 위하여 원심법원에 환송하는 한편 원고의 상고를 기각하기로 하여 관여 대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경매판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법원2002.6.14.선고2001다68389 판결【배당이의】건물일부만에전세권설정후집합건물로 (0) | 2013.03.20 |
---|---|
대법원 1997. 8. 22. 선고 96다53628 판결 【건물명도등】건물일부전세권 소멸않됨.... (0) | 2013.03.18 |
임차인의 유익비청구와 낙찰자에 대한 유치권 (0) | 2013.03.05 |
대법원 2012.12.26. 선고 2011다43655 판결 【근저당권말소】경매취소절차에 따라 ... (0) | 2013.02.15 |
대법원1998. 5. 8. 선고 97다52844 판결【토지사용료】미불용지(도로 등)공매및경매시유의 (0) | 2013.02.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