함에 들어가는 내용물및 물목 단자
'함'은 납폐(納幣)가 행해질 때, 신랑 측에서 신부측에 혼서(婚書)와 함께 보내는 혼수 예물이 담겨진 함(函)을 말합니다.
혼인은 평생에 한번 치르는 대례(大禮)로써 이를 깃점으로 하여 신부가 친가를 떠나 남의 가문 낯선 시댁에 들어가 평생
살아야 하는 중대사였으므로, 신부를 맞아오는 신랑측이나 자식을 떠나보내는 신부측 모두 신중에 신중을 기하고 예의와
격식을 다하는 것이 보통입니다.
특히 납폐절차에서 행해지는 혼서는 혼인식에 가름할 수 있는 것이며, 함께 보내는 물품들은 혼인날을 맞이하는 신부가 좋은
옷으로 성장(盛裝)하고, 기쁜 마음 가운데 치를 수 있도록 정성을 보이는 것이며,
아울러 신부의 앞날에 평안과 행복이 깃들기를 바라는 신랑측 집안의 마음이 담겨져 있게 됩니다.
따라서 '함'에는 신부의 혼수감으로서 기본적으로 청색홍색의 치마저고리 감을 넣게 되며, 나머지는 형편에 따라서 넣게 됩니다.
그러나 아무리 많은 내용물을 넣어도 물목단자에는 반드시 기본적인 청홍 치마저고리감만 기재하는 것이 원칙입니다.
이외에도 오곡주머니와 오방주머니를 넣게되며,
물목단자 외에도 사정에 의해 납채서를 보내거나 받지 못했을 경우에는 함속에 사주단자를 함께 넣어 보내게 됩니다.
<물목단자 쓰는 법>
가로,세로 40*30 센티미터에 8번으로 접어서,양쪽을 비우고 6칸에 씁니다.아래 활자체의 '훈'자는 잘못 쓰여진 것이고, 그아래 붓으로 쓴 것이 옳습니다.
주의
② 청홍 : 치마감이 청색홍색 2가지일 경우. 1가지면 청홍없이 1단만 기재.
③ 훈 : 저고리감 - 치마감과 같습니다.
④ 제(際) : 이하여백이라는 표현.
* 이외에도 여러가지 물목이 함에 들어가지만, 물목단자에는 치마저고리감만 기재합니다.
<물목봉투 쓰는법>
※ 함에 들어가는 내용물
1. 황낭(黃囊) 5개 - 황낭 주머니 / 또는 오곡주머니 / 오방주머니
2. 청홍 채단 각 1감 - 치마 저고릿감 (녹의홍상綠衣紅裳이므로 실제로는 청색 대신 녹색을 사용합니다.)
3. 청홍 한지 각2장 - 채단을 싸는데 소용됩니다.
4. 분홍 한지 1장 - 함 바닥에 까는데 소용됩니다. 붉은 색 계열도 괜찮으며, 홍색 겹보자기도 괜찮습니다.
5. 청홍 색실 각1타래 - 채단을 묶는데 소용됩니다.
6. 기타의 예물 - 여분의 채단, 두루마기감, 양장지감, 예단비, 패물 등
7. 쌍가락지 - 금 또는 백금의 쌍가락지를 보낼 경우 (작은 청홍 겹보자기 또는 주머니에 싸서 넣습니다.)
8. 싸릿가지 또는 수수대 2개 - 내용물이 흩어지지 않게.
9. 근봉(謹封) 한지띠 3개
10. 사주단자 - 납채시 주고받지 못했을 경우 함에 넣어 보냅니다.
1. 황낭(黃囊) 5개 - 황랑 주머니 / 또는 오곡주머니 / 오방주머니
황낭(黃囊)은 말 그대로 노란 주머니를 말합니다. 황낭주머니라고도 합니다.황낭은 함의 밑바닥 네귀퉁이와 가운데 등 모두 5개가 들어갑니다.
오행(五行)의 방위에 맞추는 듯 하여 오방(五方)주머니라고도 하지만, 실제로는 오행과 일치하지 않습니다.
황낭에 오곡을 넣어 보낼 경우에는 오곡(五穀)주머니라고 합니다.
다섯가지 곡식 주머니라는 뜻인데, 호행사상 등의 특별한 의미를 갖지 않습니다.
민속적 의미의 전통습속으로 보아야 합니다.
주머니는 그냥 넣기도 하지만, 대개의 경우는 내용물을 넣어 보냅니다.
주머니에 들어가는 내용물은 일정하지 않습니다. 특히 지역이나 가문(家門)의 전례에 따라 달라집니다.
일반적인 경우는 다음 3가지 입니다.
1) 고추씨 또는 숯을 넣는 경우
고추씨와 숯은 모두 남자아이를 뜻합니다.
옛 혼인에서는 가문의 대를 잇는 것이 가장 중요한 명제였으므로, 남자아이를 상징하는 고추씨와 숯을 가운데 주머니에 넣어
보냅니다.이때에는 사방 귀퉁이에 놓인 네개의 주머니에는 아무것도 넣지 않습니다.
2) 곡식을 넣는 경우
곡식을 넣는 경우에는 오곡주머니 라고 합니다.
오곡(五穀)은 쌀, 조 또는 차조, 붉은팥, 찰수수, 검은콩을 넣는 것이 보통입니다.
다만, 곡식을 넣을 경우 홀수로 세어서 넣거나, 또는 세는 것이 무의미할 정도로 한움큼이상 넣는 것이 좋습니다.
오곡주머니를 오방주머니처럼 색색깔로 구비하여 색깔에 맞춰 사방에 놓는 법도를 활용하기도 합니다.
3) 오색 주머니를 이용하는 경우
이 경우를 오방주머니 라고 합니다.
오방주머니는 다섯개의 주머니 색깔을 모두 다르게 하며, 이 경우의 색깔은 분홍색, 붉은색, 노란색, 파란색, 연두색의 다섯가지로 합니다.
주머니는 색깔에 맞추어 비단으로 만들며, 수를 놓기도 하지만 가정에서 수를 놓지않고 만들어 써도 됩니다.
오방주머니에는 주머니마다 들어가는 내용물이 틀립니다.
붉은색 주머니에는 잡귀나 부정을 쫓는 붉은 팥 (홀수)
노란색 주머니에는 며느리의 심성이 부드럽기를 바라는 노란콩 (홀수)
파란색 주머니에는 부부가 인내하며 백년해로 하기를 기원하는 찹쌀 (홀수)
연두색 주머니에는 서로의 장래가 길함을 원하는 향나무 깍은 것(홀수)
(오곡주머니의 황낭黃囊-노란 주머니 대신 오색 주머니를 사용하기도 합니다.)
※ 함에 주머니를 넣는 방법은 통상 위 3가지 중에서 한가지를 선택하게 되며, 내용물은 가가례에 따라 행하되 위의 내용물을
넣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 목화씨는 오늘날에는 구하기 어려우므로 녹차씨로 대신하기도 합니다.
2. 청홍(靑紅) 채단(彩段) - 치마저고릿감
청홍채단은 신부가 입을 녹의홍상(綠衣紅裳), 즉 푸른색 비단저고리와 다홍색 비단치마감을 말합니다.
이 청홍채단은 옷을 만들지 않은 옷감상태로 잘 캐켜서 넣습니다.
청홍(靑紅)은 본디 남녀(男女)를 뜻하는 음양(陰陽)의 색깔로서 청색이 저고릿감이며 붉은색이 치마감입니다.
채단은 근래에는 한복을 일상적으로 입지 않으므로 보통 1습을 하게 되나, 과거에는 시댁에서 신혼살림을 차릴 경우 녹색저고리와 다홍치마를 입고 생활하는 풍습이 있었으므로 보통 2~3습을 하는 경우도 있었습니다.
오늘날에도 신혼여행후 시댁을 찾아가 인사를 드릴때, 반드시 녹의홍상을 입게 되므로 청홍채단은 반드시 1습을 넣어야 합니다.
그외에 여분의 한복감이나 두루마기감 등은 형편에 따라, 또는 가풍에 따라 적절히 넣기도 하지만, 넣지 않아도 됩니다.
또 여분의 채단을 많이 넣어도 물목단자에는 반드시 1습만을 기록하여야 합니다.
3. 청홍(靑紅) 한지
청홍한지는 청색 한지와 홍색 한지를 말합니다.채단은 그냥 함에 넣는 것이 아니라 반드시 한지를 잘 감아싸서 넣게 됩니다.
청홍한지는 채단을 싸기 위해 필요합니다.
4. 분홍 한지
분홍 한지는 함의 바닥에 깔기 위해 필요합니다.반드시 분홍색이 아니어도 엷은 붉은색 계열의 한지를 사용합니다.
또는 비단 겹보를 사용하기도 합니다. 이때에도 색깔은 분홍색 또는 엷은 홍색 계열을 사용합니다.
5. 청홍(靑紅) 색실
청홍색실은 청색 실과 홍색 실을 말합니다.채단은 청홍한지를 감아싸서 함에 넣게 되는데, 이때 한지를 감은싼 채단은 다시 청홍색실로 묶어주게 됩니다.
단, 매듭이 지지 않도록 동심결(同心結)을 지어줍니다.
색실은 한두가닥을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실타래를 사용하거나 또는 수많은 실을 느슨하게 실타래처럼 꼬아서 사용합니다.
6. 기타의 예물
청홍채단 이외의 채단이나 패물 등을 말합니다.
기타의 예물은 양가의형편이나 가풍에 따르게되는데,기본 청홍채단1습만으로 납폐(納幣)의격식과 예의는 완전하게 충족됩니다.
따라서 여분의 채단이나 패물은 사족에 불과합니다.
기타의 예물이 가져오는 폐단을 방지하기 위해 옛 선인(先人)들은 '납폐(納幣)의 물목은 두 가지 이상을 하되, 열 가지를 넘어서는 안된다.(사례편람)' 라고 경고합니다.
납폐는 정성이며 예의이자 격식에 불과하므로, 일방적으로 가세(家勢) 또는 재부(財富)를 과시하는 경우가 되어버리면 오히려 결례 내지는
무례를 저지르는 형국이 되어버립니다.
7. 쌍가락지
쌍가락지는 예나 지금이나 혼인의 상징이며, 연리지(連理枝), 비익조(比翼鳥)처럼 결코 떨어질 수 없는 부부의 상징입니다.그러므로 신랑측에서는 납폐시 금 또는 은 으로 만든 쌍가락지를 함께 보내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근래에는 예식장 결혼이 일반화 되어있고, 또 식순에 신랑이 직접 신부의 손가락에 반지를 끼워주는 순서가 있으므로 굳이 함에 넣어보내지 않아도 됩니다.
그러나, 다이어 반지 등의 보석 반지로 할 경우에는 별도로 함 속에 금은 쌍가락지를 넣어 납폐함으로써 부부서약을 상징하기도 합니다.
쌍가락지는 청홍(靑紅)의 작은 겹보자기에 싸거나 또는 주머니에 넣게 됩니다.
쌍가락지 이외에 다른 패물이 있을 경우 패물을 청홍겹보자기에 싸고, 쌍가락지는 청홍주머니에 넣어 패물 맨 위에 올려놓고
보자기를 묶습니다.
8. 싸릿가지 또는 수숫대
채단을 넣은 후 이를 고정시키기 위해 싸릿가지는 수숫대를 함에 꼭 맞춰 끼워넣습니다.그러나 이는 납폐를 위해 먼길을 걸어가야 했던 과거의 습속이며, 현대에는 먼길도 교통편이 편리하게 되어있으므로 굳이 싸릿
가지나 수숫대로 채단을 고정시키지 않아도 좋습니다.
9. 근봉(謹封) 한지띠 3개
채단을 모두 넣은 후 마무리하기 위해 쓰는 한지 띠입니다.근봉(謹封)이라고 쓴 3개의 한지 띠를 채단의 상 중 하 3곳에 끼워넣어 봉인하게 됩니다.
10. 사주단자
근래의 결혼풍속에서는 납채서와 연길장을 주고받는 절차를 형식적으로도 이행하지 않습니다.따라서 신랑의 사주를 신부측에 전달하는 절차가 없어지고 말았습니다.
물론 혼삿말이 오고가는 와중에서 구두로 전달되어 신랑신부 양가에서 이미 궁합을 비롯한 여러가지를 고려하게 되겠으나,
아직 우리의 혼인풍습에서는 신랑의 사주가 절대적으로 필요한 것으로 인식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전통과 현실사이의 간극을 메꾸는 방법으로 신랑의 사주단자를 납폐시 함에 함께 넣어보내는 방법을 채택하게 됩니다.
이때에 사주단자는 절차상 납폐에 선행하게 되므로, 함의 내용물 중에서 제일 위에 올려놓아야 합니다.
즉, 사주단자가 채단의 근봉띠로 봉인되어서는 안됩니다.
'생활에지혜'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함 내용물을 봉(封)하는 방법 (0) | 2013.12.09 |
---|---|
식약처 허가 받은 황사 마스크 (0) | 2013.12.07 |
사주단자(四柱單子)작성과 포장 (0) | 2013.12.06 |
결혼을 위한 정성, 함(函) (0) | 2013.12.06 |
혼서(婚書)- 예장지 쓰기 (0) | 2013.12.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