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수 계약서 분실하였을때
부동산을 양도한 경우 양도가액에서 취득가액 및 기타의 필요경비를 차감하여 양도차익을 계산한다.
원칙적으로 부동산의 양도가액 및 취득가액은 그 부동산의 양도 또는 취득 당시의 양도자와 양수자간 실제로
거래한 가액에 따르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취득 당시의 매매계약서를 분실하여 그 부동산의 취득 당시의 실지거래가액을 확인할 수 없는 경우에는
일정한 추계방법을 적용하여 취득가액을 산정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취득 당시의 매매계약서를 분실한 경우 양도소득세의 계산방법에 대하여 간단하게 살펴보도록 하자.
소득세법에 따르면 양도가액 또는 취득가액을 실지거래가액에 따라 정하는 경우 로서 장부, 매매계약서, 영수증
그 밖의 증명서류에 의하여 해당 자산의 양도 당시 또는 취득 당시의 실지거래가액을 인정 또는 확인할 수 없는 경우
다음의 추계방법을 순차로 적용하여 양도가액 또는 취득가액을 산정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1. 매매사례가액
양도일 또는 취득일 전후 각 3개월 이내에 해당 자산(주권상장법인의 주식 등은 제외)과 동일성 또는 유사성이 있는
자산의 매매사례가 있는 경우 그 가액
2. 감정가액
양도일 또는 취득일 전후 각 3월 이내에 당해 자산(주식 등을 제외)에 대하여 2 이상의 감정평가법인이 평가한 것으로서
신빙성이 있는 것으로 인정되는 감정가액 (감정평가기준일이 양도일 또는 취득일 전후 각 3월 이내인 것에 한함) 이 있는
경우에는 그 감정가액의 평균액
3. 환산가액
양도 당시의 실지거래가액, 매매사례가액 또는 감정가액을 기준시가에 따라 다음의 방법으로 환산한 취득가액
양도당시의 실지거래가액, 매매사례가액 또는 감정가액 |
× |
취득 당시의 기준시가 |
양도 당시의 기준시가 |
4. 기준시가
소득세법의 규정에 따라 산정한 가액으로서 양도 당시 또는 취득 당시의 기준이 되는 가액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부동산을 양도하는 경우 취득 당시의 매매계약서를 분실하여 그 부동산의 취득 당시의
실지거래가액을 확인할 수 없는 경우에는 취득가액을 매매사례가액, 감정가액, 환산가액 또는 기준시가의 추계방법을
순차로 적용하여 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주의할 점은 매매사례가액 또는 감정가액이 특수관계인과의 거래에 따른 가액 등으로서 객관적으로 부당하다고
인정되는 경우에는 해당 가액을 적용하지 아니한다는 것이다.
'부동산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땅 종류 (0) | 2018.07.02 |
---|---|
미불용지 (0) | 2018.06.29 |
토지분할의 법적 기준 (0) | 2018.05.10 |
교통유발 부담금 [交通誘發負擔金] (0) | 2018.05.01 |
계약시 특약사항 (0) | 2018.04.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