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국토에 령,재,치,고개
1.령
산꼭대기의 고개, 산맥의 경계점을 이룬다.
규모나 통행량에 면에서 큰 지역을 나타내며 지역 간 통행의 중요한 통로를 형성하고 일찍부터 군사 요지로 지목 되었다고
추측 할 수 있다
2.재
넘어 다니도록 길이 나있는 높은 산의 고개 큰 산맥 사이 또는 왕래가 빈번한 곳이다
3.치
위로 올라간다는 뜻을 나타내는 말
4.고개
산등성이의 봉우리와 봉우리사이의 낮은 안부(산마루가 움푹 들어간 곳)
▶가령(可嶺)
강원도 홍천(洪川)~인제(麟蹄)간의 국도변에 걸친 철정(哲亭)에서 현리(縣里)로 넘어가는 령(嶺)으로,
451번 지방도가 지나는 홍천과 인제의 군계에 놓여있다.
▶가득령(可得嶺)
강원도 홍천(洪川)~인제(麟蹄)간,
▶가리파치(加里坡峙)
강원도 원주시 금창리와 판부면 금대리의 경계가 되는 고개이다.
▶가목재
무풍면과 부항면의 지경, (釜項嶺 ),
▶가잿재
전북 장수군의 계남면 가곡리에 소재한 고개이다.
▶각한치(角汗峙)- 강원도 영월군 남면 광천리와 연당리 사이에 위치한 고개이다.
▶각희재(각희재)
강원도 정선군 몰운에서 남면 능전(能田)으로 넘어가는 고개,
▶간월재(肝月峙)
울산광역시 울주군 언양면에 위치
▶간 치(艮峙)
전남 진도군의 북쪽에 있는 고개이다.(간재).
▶갈골령(嶺)
해발 433M 자강도 만포시 남상리(南上里)와 위원군 향양리(向陽里) 사이에 있는 고개.
▶갈두재(葛頭峙)
전남 해남군 송지면 송호리의 송호(松湖)해수욕장과 갈두(葛頭)리 사이를 잇는 고개다.
▶갈목재(葛目峙)
해발 390M 대덕과 증산의 경계,
▶갈 령 (葛嶺)
경북 해발 770M 울진군 북면 나곡리
▶갈 령 (葛嶺)
경북 해발 443m 상주시 동관리에 소재한 갈령재는 옛 부터 칡이 많아서 갈령(葛嶺)이라 했답니다.
▶갈 재(葛峙)
전북 순창군의 북흥면과 정읍시 내장동을 연결하는 내장산의 고개이다. *추령(秋嶺),
▶갈 치(葛峙)
전남 장흥군 장평면 녹양리 서남쪽에 위치한 고개이다.
▶감우재
충북 음성군 음성읍 소여리
▶개골령(嶺)
해발 806M 강원도
▶개머리재
해발 290M 경북 김천
▶개터재
해발 380M 경북 김천
▶거차리령(巨次里嶺)
▶건의령(建儀嶺)
해발 806M 강원도
▶검문령(劍門嶺)
황해도
▶검산령(劍山嶺)
해발 1,127m
▶격진령(隔塵領)
경북 안동 선찰사
▶계립령(鷄立嶺)
경북 일명;조령= 새재(鳥嶺) =하늘재,
▶고당고개(古堂고개)
충청남도 공주시 사곡면 고당리 에 있는 고개,
▶고돌재(古突峙)강원도 삼척시 근덕면 궁촌리
▶고모령(顧母嶺)
대구시 수성구 만촌동 ~ 팔현마을 로 넘어가는 고개,
▶고부령(嶺)
▶고초령(嶺)
▶고치령(古峙嶺)
해발 770M 경북 영주시 단산면 좌석리~마락리~충북 단양군 영춘면 의풍리를 잇는 고갯길,
▶곰배령(嶺)
해발 1,164M 강원도 인제군 귀문리 곰배골에서 기린면 진동리 설피밭 마을위삼거리로 넘는 고갯마루,
▶곰티재(熊峙)
427m 경상남도 밀양(密陽) 동북부에 있는 재. =웅치
▶광치령(廣峙嶺)
해발 641M 강원도 양구군과 인제 원통을 잇는 31번국도의 고개길.
▶괘방령
▶구곡재(九曲峙)
강원도 가령골에서 인제군 기린면 상남리의 미다리로 가는 큰 고개.
▶구덕령
▶구룡령(九龍嶺)
강원도 해발 1010M 강원도 홍천군 내면 명개리와 양양군 서면 갈천리 경계에 위치한 고개이다.
▶구룡치(九龍峙)
중동말에서 내속리면 하판리로 넘어가는 고개.
▶구름재(雲嶺)
▶구부시령(九夫侍嶺)
▶구수리고개
충청남도 공주시 이인면 복룡리 에 있는 고개.
▶구제고개(鳩峙)
해발 214m 충남 공주시 유구읍의 구계리와 유구리 사이에 있는 고개.
▶구조령(舊鳥嶺)
옛날의 새재.새재는 험준한 소백산맥을 넘는 령을 뜻하는데, 옛 새재는 가장 오래된 것은 물론이지만,
주로 지체 높으신 양반들이나 관리들이 다녔던 곳이다.
▶구티재(龜峙,九峙)
해발 280m 충북 보은군 산외면 구티리와 탁주리 원평리를 넘나드는 고개이다.
▶국고개
충청남도 공주시 중동 과 옥룡동 사이에 있는 고개.
▶군축령(軍築嶺)
강원도 인제군 남면 남북리에서 남면 건이원(建伊院)으로 가는 길에 위치한 고개이다.
▶궤방령(嶺)
영동군 매곡면과 김천시 대항면을 잇는 고개,
▶금패령(禁牌嶺)
해발 1676M 함경도 신흥군과 양강도 김형권군 경계에 있는 고개.
▶그럭재
171m 전남 보성 =기러기재
▶기름재(油峙)
충남 공주시 유구읍 동해리와 사곡면 부곡리를 잇는 고개.
▶기죽령(騎竹嶺)
▶기치(箕峙)
▶깃대령(嶺)
강원도 안변군
▶남갈령(南葛嶺)
함남 홍원군(洪原郡)과 북청군(北靑郡)의 경계,
▶남 령(南 嶺)
▶남령재
▶남설령
해발 2,150m
▶남태령(南泰嶺)
서울,경기 해발 109M 서울특별시 관악구와 경기도 과천시의 경계에 있는 고개.
▶내무재령(內霧在嶺)
해발 1275M 강원도 금강산 내금강지역 비로봉구역 일출봉과 차일봉사이의고개. 안내무재령
▶내석재(內石峙)
해발표고 480m 경남 양산 상북면에서 원동면으로 연결되는 재이다.
▶널티재
▶노나무재(노나무재)
강원도 해발 1150M 정선군 동면
▶노 령(蘆 嶺)
전북,전남 해발 276M 정읍시와 전남 장성군 북이면 경계에 있는 고개
▶눌 재
▶느릅령(楡峴, 楡嶺)
강원도 해발 642M 태백시 황연동(연화동) 통리 예랑골 입구에서 도계 심포리 넘어가는 고개
▶늦은맥이재
▶다름고개(月峴)
충청남도 공주시 장기면 봉안리 에 있는 고개.
▶단목령(檀木嶺)
강원도 인제군 기린면 진동리 방면의 설악산국립공원에 있는 고개.
▶단발령(嶺)
강원도 해발 824M
▶달산령(達山嶺)
807M 江原道 楊口郡 서화면 가전리
▶닭목령(嶺)
강원도 강릉시 왕산면 대기리
▶대간령(大間嶺)
해발 641M
▶대관령(大關嶺)
해발 865M 강원도 영동과 영서를 연결하는 관문
▶대령(大嶺)
652m 경북 울진
▶대쌍령(大雙嶺)
경기도 광주시 초월읍 대쌍령리
▶대승령(大勝嶺)강원도 해발 1210M
▶대왕재(대왕재)
경북
▶대조령(大鳥嶺)
작은 새재를 넘어서 연풍까지 쑥 내려갔다가 다시 올라가서 문경으로 넘어가는 령(嶺)이다.
▶더산재
▶덕산재(德山峙)
해발 1320M 경북 김천시 대덕면 덕산리와 전북 무주군 무풍면 금평리를 연결하는 고개.
▶덕유대령(德楡垈嶺)
경북 해발 1,503 M 함남 장진군과 평북 강계군(현 자강 낭림군과 용림군)의 경계
▶도리재(桃李峴)
경기도 시흥시 금이동
▶도삼재(道三峙)경북 해발 413M 경산시
▶돌산령(嶺)
강원도 해발 958M
▶동엽령(冬葉嶺)
해발 1320M '경상도와 전라도 지방의 토산품을 교역하기 위해 넘나들던 재이다.
▶동점령(銅店嶺)
해발 1,891M 양강도(량강도) 갑산군 동점노동자구에 있는 고개.
▶두문동령(杜門洞嶺)
강원도 해발 1,268mM 태백시 화전동에서 정선군 고한리로 넘어가는 고개이다
▶두밀령(嶺)
강원도 양구군 동면 월운리
▶ 들목재
▶마구령(馬驅嶺)
해발 820M 경북 영주시 부석면 남대리~임곡리를 이어주는 고개
▶마당재(馬堂峙)
경북 해발 910M
▶마등령(馬等嶺)
강원도 해발 1327M
▶마식령(馬息嶺)
함경남도 해발 788M 달악산과 고춘봉 사이에 위치,
▶마전령(麻田嶺)
717M 평안북도 강계군 동서면과 자성군 삼풍면 사이에 있는 고개
▶마질령(麻叱嶺)
높이 445m 경북 경주시 현곡면 남사리와 서면 도리, 영천시 고경면 덕정리의 접경지대에 있는 고개.
▶마천령(摩天嶺)
해발 873M 함경남도 단천시에서 함경북도 김책시로 넘는 고개
▶ 만리재(萬里峴)
서울시 마포구
▶만항재(만항재)
강원도 해발 1330M 정선군 고한읍~
▶말티재(馬峙)
높이 430 M 충북 보은구 속리산면과 장안면을 연결하는 고개.
▶먼멧재
730m 江原道 楊口郡
▶멧둔재(멧둔재)
강원도 영월군 미탄면
▶못 재
해발 810m
▶목골재(목골재)
강원도 해발 1000M 평창군 진부면
▶묘적령(嶺)
▶무 령 (嶺)
▶무룡고개(舞龍峙)
▶문봉재
▶문안달고개(門안달고개)
충청남도 공주시 정안면 산성리 와 유구읍 동해리 사이에 있는 고개.
▶미시령(彌矢領)
강원도 해발 832M 고성군 토성면과 인제군 북면의 경계,
▶미시파령(彌時坡嶺)
강원도(江原道) 인제(麟蹄)와 간성(杆城) 사이에 있는 재.
▶밀목재(密木嶺)
충남 공주시 반포면 학봉리
▶바람재
▶바위고개
경북 칠곡군(漆谷郡)과 달성군(達成郡)의 경계를 이루는 작은 고개,
▶박달령(朴達嶺)
강원도 삼척시 삼화동과 하장면 번천리를 이어주던 고개
▶박달재(朴達峴)
충북 해발 457M 충주와 제천 사이에 있다.
▶밤나무재
강원도 강릉시 왕산면 대기 3리 한터에서 정선군 북면 구절리 상자개터로 가는 재,
▶밤티재(밤티재)
경북
▶배내재
울산광역시 울주군
▶배태재
해발표고는 300여m, 경남 양산시 원동면에서 배내골로 들어가는 69번 지방도로상에 있다.
▶배후령(背後嶺)
해발 600m 강원도 춘천시 신북면 발산리에 위치한 고개이다.
▶백복령(白伏嶺)
강원도 해발 780M 동해~임계
▶백사장터재
전남 화순
▶뱃재
높이 828m 강원도 홍천군 서석면과 내면(內面)의 면계(面界)에 놓인 고개.
▶빼 재(빼 재)
▶벌문재
강원도 정선군 해발 795M
▶벌재
▶벽소령(嶺)
▶보래령(寶來嶺)
강원도 해발 1,065M 홍천군 내면에서 남쪽의 봉평장으로 넘나들던 큰 고갯길,
▶복성이재
▶본월치(本月峙)~
▶부전령(赴戰嶺)
함남 해발 1,445M
▶부항령(釜項嶺)
해발 690M , 전라북도 무주군의 무풍면 금평리에 소재한 고개이다.
▶북암령(嶺)
강원도 해발925 M =북음령, 인제군 기린면, 양양군 서면
▶분수령(分水嶺)
▶불당고개(佛堂고개)
충청남도 공주시 의당면 덕학리 와 정안면 장원리 사이에 있는 고개.
▶불란치재
▶불티고개
충청남도 공주시 반포면 도남리 에 있는 고개.
▶비 령 (嶺)
▶비 재- 해발 427M
▶비조령(飛鳥嶺)
▶비티재(비티재)- ※일명;영원령
▶비행기재 (비행기재)
해발 618M 정선군 정선읍 ~ 평창군 미탄면을 잇는 고개,
▶사수재(사수재)- 경북 경산시
▶사치재
▶삿갓골재
▶싸리재
강원도1268m 정선군 사북읍 ~ 태백시을 잇는 고개,※일명 두문동재
▶삼마골재
▶삼수령(三水嶺)
태백시 적각동 135번지 *한강, 낙동강, 오십천의 분수령이된다
▶삼승령- 경북
▶삼아령(三阿嶺)
해발 926M =회남재, 태백시
▶삽당령(揷當嶺)
해발721m 강원도 강릉시 왕산면 목계리와 왕산면 송현리의 사이에 있는 고개
▶삿갓재(삿갓재)
▶새 재(鳥嶺)
=조령,충북 충주 괴산/경북 문경
▶새 재(새재)
경남 해발 641M 산청군
▶생계령(生溪嶺)
해발 640M 강원도 정선군 임계면 ~ 강릉시 옥계면을 잇는 고개.
▶서희령(西希嶺)
江原道 楊口郡 서화면 서희리로 넘어가는 고개로 진고개를 말함.
▶석개령(石開領)
해발 1,877m 강원도 삼척시 가곡면 풍곡리와 경북 봉화군 석포면 석포리를 잇는 지방도가 넘어가는 고개.
▶석남재(石南峙)
경남 밀양/울산
▶석목재
▶석파령(席破嶺)
해발 350M 강원도 춘천시 서면 당림리와 덕두원리 경계에 위치한 고개이다.
▶선자령(仙子嶺)
강원도 해발 832M 강원 평창군 도암면~ 강릉시 성산면
▶선치(蟬峙)
높이 175m 전남 영광군의 남동쪽에 위치하여 묘량면과 함평군 해보면의 경계를 잇는 고개이다.
▶설머치 고개
300M 323번 지방도로가 지나는 의정부와 파주 적성면 사이에 있다.
▶설마령(雪馬嶺)
설머치 고개의 옛지명. 경기도 의정부~ 파주사이.
▶설운령(洩雲嶺)
▶설탄령(雪呑嶺)
강원도(江原道) 평강현(平康縣)
▶설한령(雪寒嶺)
해발 1,433M 함남 장진군과 평북 강계군(현 자강 낭림군과 용림군)의 경계,
▶성마령(星摩嶺)
강원도 강원 정선군 정선읍~평창군 미탄면,
▶성목재(城項峴)
해발 850 m-- 강원도 방림면∼횡성군 둔내면 간,
▶성삼재(姓三峙)
전남 해발 1090m 전남 구례군 산동면 지리산노고단,
▶소간령(嶺)
▶소동라령(所東羅嶺)~ =한계령
▶소령(小嶺)
광주읍 초월면 쌍령리(雙嶺里)
▶소정재- 해발 290M 경북 김천
▶소조령(小鳥嶺)
수안보와 괴산군 연풍면을 연결하는 고개, =작은 새재.
▶소파령(所坡嶺)
일명‘석파령石破嶺’
▶솔개골령(嶺)
평안남도 신양군과 북창군 경계
▶솔 재(松峙)
강원도 홍천군 화촌면 장평리에서 내촌면 물걸리로 넘어가는 길에 위치한 고개이다.
▶솔 재(松峙)
전라북도 고창군 고창읍 월산리에서 전라남도 장성군 북일면 문암리로 넘어가는 고개.
▶솔티고개
충청남도 공주시 신풍면 청흥리 에 있는 고개.
▶송이재(嶺)
강원도 송이재(弩峴, 통리재) 강원 태백시
▶송 치(松峙)
전남 순천시의 서면 학구리와 월등면 계월리를 연결하는 고개이다.
▶쇄령(朝嶺)~
▶수갈령(嶺)
강원도 강원 평창군
▶수라리재
해발530m 강원도 영월군 중동면 녹전리와 석항리 사이의 고갯길입니다.
▶수 령 (秀 嶺)
해발 940M 덕유산
▶수분령(水分嶺)
전북 해발 530M 남원
▶수철령(水鐵嶺)
해발 535m 충북 보은군의 보은읍 종곡리 종남에서 속리산면 북암리 시장터로 넘어가는 고개이다.
▶숫돌고개
경기도 고양시의 덕양구 신도동에 위치한 고개이다.
▶숯고개
충청남도 공주시 탄천면 가척리 에 있는 고개.
▶쑥밭재(宿泊峙)
해발 1,220M
▶신리재(新里재)
해발 830m 강우너도 태백시 통리역에서 삼거리인 신리까지 이어지는 령.
▶신배령(嶺)-
▶신불재(신불재)- 경남
▶신의터재
해발280m 금은봉과 장자봉 사이에 있는 고개로 금강과 낙동강의 분수령,
▶신풍령(嶺)- 해발 1479M
▶십이령(嶺)- 경북 울진
▶아득령(嶺)- 해발 1479M 함남
▶아침재~ 전라남도 해남군의 해남읍 구교리와 마산면 장촌리 사이의 고개이다.
▶아홉사리고개(九曲峙)~ 충남 천안시 유량동에서 목천면 삼방리(三方里)로 넘어가는 고개.
▶아홉사리재~ 강원도 홍천군 내촌면 와야리
▶어평재(御坪峙)~ 해발936m 강원도 태백시 혈동 =화방재.
▶여원재(女院峙)- 해발 470M
▶연수령(連水嶺)~ 강원도
▶연치미고개(燕峙尾고개)~ 충청남도 공주시 쌍신동 과 우성면 신웅리 사이에 있는 고개.
▶연칠성령(連七星嶺)~ 1184m,강원도 삼척시 하장면(삼척)과 삼화동(동해)을 이어주던 고개,
▶염불재(염불재)- 경북 해발 M
▶엽전재(葉錢峙)~ 경기 평택/충남 성환/충북 진천 =엽둔재(葉屯峙),엽돈재,엽둔티, 율둔티
▶영각재
▶영원령(靈源嶺)- ※일명;비티재
▶오도재(오도재)- 경북 해발 M
▶오두재- 강원도 정선군해발890M
▶오색령(五色嶺)~ 해발 1,004m
▶오정자재~ 해발 300M 전북 순창구림 월정리~전남 담양군 용면
▶옥안령(玉案嶺)
▶온정령(溫井嶺)~ 높이566M
▶온정령(溫井嶺)~ 높이 857m 강원도(북한) 고성군과 금강군의 경계에 있는 고개. =영웅고개
▶옷 재
▶용화재(龍化峙)~ 강원도 삼척시
▶우금치(牛禁峙)~ 충청남도 공주시 금학동 과 주미동 사이에 있는 고개.
▶우두령(嶺)- 해발 720M 충북 영동군 상촌면과 경북 김천시 대항면을 잇는고개,
▶운두령(雲頭嶺)- 강원도 해발 1089M 평창군 용평면과 홍천군 내면의 경계,
▶운령(雲嶺)~ 운곡면 태흘리와 평남 양덕군 오강면 원동의 경계.
▶울치재- 경북 해발 490M,영양군 석보면 양구리~영덕군 창수면 창수원을넘는고개,
▶웅치(熊峙)~ 공주시 계룡면과 공주시의 경계
▶월성재(월성재)
▶월음령(月陰嶺)~ 1150M
▶윗왕실재~ 해발 400m 경북 김천
▶윙계재(윙계재)- 경북
▶유문동재(유문동재)- 강원도
▶유치(柳峙)~ 전라북도 남원시의 운봉읍 임리와 장수군 번암면 유정리 사이를 연결하는 고개이다.
▶유치(柳峙)~ 강원도 영월군 주천면 도천리에서 원주군 신림면 송계리의 계야로 넘어가는 길에 위치한 고개이다. =버들치재
▶육십령(六十嶺) 전북.경남 해발 734M 26번국도
▶은비령(隱飛領)- 강원도 한계령의 샛길,
▶이기령(嶺)
▶이치(梨峙)~ 충북 진천군과 경기도 안성군의 경계
▶이치(梨峙)~ 높이 350m 전라도와 충청도를 연결하는 주요 통로
▶이화령(梨花嶺)-높이 548m 충북 괴산군과 경북 문경시의 경계를 이루는 고개.
▶임걸령(嶺)- 해발 1424M
▶장구목재(장구목재)
▶장안치(長安峙)
▶저령(猪嶺)- 忠南 舒川郡 =곶감재.돝고개.
▶저수령(低首嶺)- 해발850 M 충북 단양군 대강면과 경북 예천군 상리면을 잇는 고개.
▶저유령(猪踰嶺)
▶저항령(嶺)
▶적유령(嶺)- 평북 해발 969M
▶전우재(전우재)
▶전후재(전후재) 연곡면 삼산4리에서 부연동으로 넘는 고개,
▶정령치(鄭嶺峙)~ 높이1,172 m 전북 남원시 산내면 덕동리 지리산 줄기의 고개,
▶정령치(正嶺峙)~ 해발1,155m 전북 주천면 고기리에서 산내면 달궁마을로 넘어가는 지리산 줄기의 고개.
▶조도령(鳥道嶺) 태백시
▶조 령(鳥 嶺)- 경북,충북 해발 643M 문경시 문경읍과 충북 괴산군 연풍면 경계 (새재)
▶조침령(曹枕嶺)
▶주치령(走峙嶺)
▶죽 령(竹 嶺)- 충북.경북 해발 689M
▶중 재
▶지기재
▶진부령(陳富嶺)- 강원도 해발 530M 인제군 북면과 고성군 간성읍 사이
▶질마고개~ 충청남도 공주시 우성면 상서리 에 있는 고개.
▶질마재~ 충청남도 공주시 정안면 장원리 에 있는 고개.
▶차갓재- 경북 문경시 동로면 생달리
▶차 령(車嶺)- 해발 254M, 충남 천안/공주
▶차유령(車踰嶺)- 경기 남양주시(南楊州市) 와부읍(瓦阜邑)과 화도읍(和道邑) 경계
▶창수령- 경북 영덕군 창수면~영양을넘는고개,
▶천 령(天 嶺)- 강원 강원도 태백시
▶철갑령(鐵甲嶺)- 강원도, 해발 1013M 江原道 江陵市 連谷面 三山里 오른쪽은 연곡면, 왼쪽은 양양군 경계,
▶철 령(鐵 嶺)- 강원,함남 해발 685M 안변군과 회양군 의 경계
▶청석령(嶺)- 경기도 의주
▶청하령(靑霞嶺)
▶추가령(楸哥嶺)- 강원,함남 해발 586M 강원도(북한) 세포군 삼방리·대곡리 경계
▶추 령(秋 嶺)- 복흥에서 정읍으로 넘는 재
▶추지령(楸地嶺)- 해발 645 M 강원(북한) 회양군과 통천군(현 금강군과 통천군)의 경계에 있는 고개,
▶추포령(楸浦嶺)~ 철령을 사이에 두고 있는 고개.
▶추풍령(秋風嶺)- 충북,경북 해발 200M 영동군 추풍령면과 김천시 봉산면 경계
▶치술령(致述嶺)- 765m, 경남 울산군 두동면, 경주시 외동읍 녹동리
▶치악재- 원주시 판부면 금대리.= 가리파재
▶치 재
▶칠족령(嶺)- 강원도 평창군 미탄면 ,정선군 남면,
▶큰 새재(大鳥嶺)~ 충청북도와 경상북도의 도계(道界)를 이룬다, =梨花嶺.
▶큰 재- 해발 320M 경북 김천 신곡리
▶탄둔령(炭屯嶺)~ 高城
▶태백령~ 해발1,143m
▶통점령(通店嶺)- 경북 해발 795M
▶통팔령(通八嶺)~ 해발 1,446m
▶파계재(파계재)- 경북
▶파군재(破軍峙)- 경북
▶판기령(板機嶺)
▶판막령(板幕嶺)
▶팔량치(八良峙)~ 전북.경남 해발 513M
▶팔랑치(八朗峙)~ 8명의 젊은 장수가 지킨 고개,
▶팔 령(팔령)- 전북,경남해발 M 함양군 함양읍 ~ 남원시 인월면의 경계,
▶팔조령(八助嶺)- 경북 해발 373m
▶폐백이재
▶피앗재
▶피 재- 강원도 ※삼수령
▶필노령(弼奴嶺)~ 강원도 양양~ 인제군 귀둔리사이의 고개, =필여령(弼如嶺),필례령(必曳嶺),
▶필례령(必曳嶺)~ 강원도 ,=필녀령(匹女嶺),=필예령(必曳嶺),
▶하고개(下고개)~ 충청남도 공주시 교동 에 있는 공주경찰서와 중동사거리 사이에 있는 고개.
▶하늘재- 해발 525M 경북 문경시 문경읍 관음리 와 충북 충주시 상모면 사이
▶하진목고개~ 충청남도 공주시 정안면 과 사곡면의 경계에 있는 고개.
▶한계령(寒溪嶺)- 강원도 해발 917M 인제군(麟蹄郡) 북면(北面)과 양양군(襄陽郡) 서면(西面)의 경계
▶한의령(嶺)- [일명;건의령]해발 840M 강원도 삼척시 도계읍과 태백시 사이,
▶한채재(한채재)
▶한치령(한치嶺)- 경기도 가평군 남산면백양리과 남면가정리 사이,
▶한퇴재(한퇴재)- 경북
▶한티재(한티재)- 경북
▶할미당고개~ 충청남도 공주시 정안면 어물리 어무실에 있는 고개.
▶행치령~ 강원도 홍천군 서석면 수하리
▶행치령(杏峙嶺)~ 충북 음성군 원남면 상당리
▶허항령~ 함남.함북 해발 1,401M
▶헐티재(헐티재)- 경북 해발 535M
▶화비령(花飛嶺)- 강원도 강릉시 강동면 임곡리 모전리와 산성우리 사이에 있는 큰 고개,
▶화 령(火 嶺)- 해발 320M
▶화령재- 해발 320M
▶화방재(花芳嶺)- 강원도 태백시 해발 960M ※일명 어평재
▶화절령(花折嶺)- 강원도 정선군과 영월군을 잇는 고갯길,
▶환희령- 강원도 춘천시 북산면 청평 1리
▶황령치(黃嶺峙)~ 황장군이 지킨 고개,
▶황장재(黃腸峙)
▶황초령(黃草嶺)~ 함남 해발 1200M
▶회룡재~ 해발 340M 경북 김천
▶회암령(檜岩嶺)- 경기도 포천시 소흘읍 샛터에서 양주시 회천동 회암사(檜巖寺)로 넘어가는 길에 위치한 고개.
▶회엄이재
▶회전령(檜田嶺)~
▶횡경재(횡경재)- 해발 1,246M
▶후치령(厚峙嶺)~ 함남 해발 335M 咸鏡南道 北靑郡과 풍산군(豊山郡) 사이에 있는 재.
▶흘리령(屹里嶺)~ 간성군 서쪽 경계를 이룬 고개,
▶희남재~ 경남 하동 악양면(岳陽面) 악양에서 청암면(靑岩面) 묵계(默溪)로 넘어가는 재이다.
청암재(靑岩峙),
▶희애재~ 전남
▶희여치(希汝峙)- 광주광역시 광산구 삼도동 관할 삼도동과 오운동,평동 관할 지정동의 사이의 고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