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 많이 마시면 안 좋은' 질병
◇물 멀리해야 하는 질병
▶갑상선기능저하증
심한 갑상선기능저하증을 앓고 있다면 수분 섭취를 제한해야 한다.
갑상선기능이 저하되면 수분 배출이 잘 안 되는데, 여기에 물까지 많이 마시면 혈액 속 나트륨 수치가 떨어지는
저나트륨혈증으로 이어질 수 있다.
저나트륨혈증은 두통, 구토, 피로, 의식 저하 등을 유발한다.
나트륨 수액 주사를 맞는 것으로 증상을 완화할 수 있다.
갑상선기능저하증 환자는 수분 섭취를 하루 1L 미만으로 제한하는 것이 좋다.
▶심부전
심부전으로 심장 수축 기능이 떨어지면 심장에서 빠져나가는 혈액량이 줄어든다.
따라서 몸 구석구석 퍼져야 할 혈액이 말단 조직까지 도달하지 못하고 정체된다.
이때 우리 몸은 일종의 보상 기전으로 물을 마시지 않아도 혈액량을 늘리고, 혈압을 높인다.
물을 마시면 혈액량과 혈압이 더 높아져, 모세혈관 속 수분이 압력이 낮은 폐와 뇌 등으로 흘러 들어갈 수 있다.
조직, 장기 등에 물이 고이면 부종으로 이어질 수 있다.
마찬가지로 심부전 환자도 하루 1L 이내로 물을 마시는 것이 좋다.
▶신부전
콩팥 기능이 크게 저하된 신부전 환자도 수분을 제대로 배출하지 못하므로 물 섭취를 제한해야 한다.
물을 많이 마시면 혈액량, 체액량이 늘어 마찬가지로 폐부종 위험이 커진다.
지방조직에도 물이 고여 피부가 쉽게 부을 수 있다.
특히 다리에 증상이 잘 나타나 보행이 어려워지고, 피부 감염에 취약해질 수 있다.
중증의 심부전 환자라면 하루 2L 이상 물을 마시지 않는 것이 좋고, 혈액 투석을 받을 정도로 심하다면 3~5컵
(1컵=200㎖) 정도가 적당하다.
▶간경화
간경화로 간 기능이 떨어지면 알부민이 잘 생성되지 못한다.
혈액 속 알부민 농도가 낮아지면, 수분이 각 장기에 배분되지 못하고 혈액에 남기 때문에 혈액 속 수분 함량이
높아진다.
늘어난 수분은 복강으로 흘러 들어가서 배에 복수가 찰 수 있다.
◇물 충분히 마셔야 하는 질병
▶폐렴·기관지염
호흡기 질환에 걸리면 열도 오르고 호흡도 가빠져 피부와 호흡기를 통한 수분 배출이 많아진다.
호흡기가 마르지 않도록 지속해서 미지근한 물을 조금씩 마시는 것이 증상 완화에 도움이 된다.
▶당뇨병
신부전 합병증이 없는 당뇨병 환자는 수시로 물을 마시는 것이 좋다.
혈당 상승 억제를 도와줄 수 있다.
특히 갈증을 잘 못 느끼는 노인 당뇨병 환자는 목이 마르지 않아도 두 시간에 한 번씩 의식적으로 물을 마시는
것이 좋다.
▶고혈압·협심증
혈액 속 수분이 부족하면 혈액이 끈적해져 일명 피떡이라 불리는 혈전이 잘 생성된다.
혈액 흐름도 늦어져 혈관 벽에 지방, 혈전 등이 쌓이게 될 가능성도 커진다.
이는 심근경색으로 이어질 수 있다.
따라서 고혈압이나 협심증이 있는 사람은 하루 1.5~2L는 물을 마시는 것이 좋다.
이상지질혈증 단계부터 물을 충분히 마시는 습관을 들이면 협심증으로 진행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단, 염분은 하루 5~6g 정도로 제한해야 한다.
▶염증성 비뇨기질환
요로감염, 방광염, 전립선염 등 염증성 비뇨기질환이 있을 땐 소변이 마려울 정도로 수분을 많이 섭취해야 한다.
소변으로 염증 유발 물질을 배출시켜야 한다.
충분한 물 섭취는 요로결석이 형성되는 것을 막고, 생겼을 때도 결석이 잘 빠지도록 도와준다.
자신의 하루 소변량보다 500mL 이상 더 마셔야 한다.
'건강한생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캠핑장 (3) | 2023.03.11 |
---|---|
정력증진 약재 (0) | 2023.03.10 |
서울둘레길 100인 원정대 (0) | 2023.03.02 |
중년 이후 운동법 (0) | 2023.03.01 |
운동 부족과 신체 기능 (0) | 2023.02.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