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초대사량
basal metabolic rate , 基礎代謝量
BMR, 휴식대사율, 休息代謝率
생명과정에 필요한 최소한의 에너지량. 기초대사량은 인간과 동물이 활동을 하지 않는 휴식상태에서도 뇌의 활동,
심장 박동, 간의 생화학 반응 신체의 생명활동 기능을 유지하기 위해서 필요한 에너지의 양을 말한다.
일반적으로 남성은 체중 1kg당 1시간에 1kcal를 소모하고, 여성은 0.9kcal를 소모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정의
체온 유지, 호흡, 심장 박동 등 기초활동을 위한 신진대사에 쓰이는 에너지량. 생물은 생명활동을 위해 에너지의
공급을 필요로 하며 그 에너지는 환경으로부터 얻고 있다.
식물은 태양의 광에너지를 광합성을 통해 화학에너지로 바꾸며, 동물은 근본적으로 생명유지에 필요한 물질을
합성할 수 없으므로 식물이나 다른 동물이 가지고 있는 고분자 유기화합물을 섭식하고 분해시켜 생성되는 에너지로
생명활동을 유지한다.
기초대사량은 인간과 동물이 활동을 하지 않는 휴식상태에서도 뇌의 활동, 심장 박동, 간의 생화학 반응 신체의
생명활동 기능을 유지하기 위해서 필요한 에너지의 양을 말한다.
측정방법
일반적으로 기초 대사량은 8시간의 충분한 수면과 이후 12시간의 금식 후에 측정한다.
기초대사량의 자가 측정에 대해서는 많은 연구가 있었으나, 1990년 이후 미플린이 창안한 기초대사량 산정 공식이
가장 신뢰를 얻고 있다.
개인별 차이가 있지만 일반적으로 남성은 체중 1kg당 1시간에 1kcal를 소모하고, 여성은 0.9kcal를 소모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세계보건기구 보고서에 의하면 몸의 각 기관이 기초대사를 위해 소모하는 에너지양은 간 27%, 뇌 19%,
근골격 18%, 신장 10%, 심장 7%, 그밖의 장기 19%라고 알려져 있다.
남자: (6.25 × cm 단위 자신의 키) + (10 × kg 단위 자신의 체중) – (5 × 자신의 나이) + 5
남 | 20~29세 | 71.8±10.6 | 1728.0±368.2 |
30~49세 | 70.3±9.24 | 1669.5±302.1 | |
50~64세 | 70.0±6.66 | 1493.8±315.3 | |
여 | 20~29세 | 52.1±6.12 | 1311.5±233.0 |
30~49세 | 57.4±6.29 | 1316.8±225.9 | |
50~64세 | 60.2±7.81 | 1252.5±228.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