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법률과경제

상속세 신고 기한

호사도요 2024. 3. 25. 08:29

상속세 신고 기한

 

피상속인, 상속인 사망 6개월 이내 상속세 신고해야

기한 내 신고시 3% 공제미신고시 최소 20% 가산세

납부지연 가산세도 추가부정행위시 40% 가산세

 

재작년말 아버지가 지병으로 돌아가신 A씨는 지방의 소형 빌라를 상속받아 1000만원의 상속세를 내게 됐다.

작년 사내 주요 프로젝트를 맡아 정신이 없던 A씨는 물려받은 재산이 고가 부동산이 아니라 큰 문제가 없을 것으로

판단해 신고를 차일피일 미루다가 16개월이 훌쩍 지났다.

하지만 최근 A씨는 상속세를 늦게 신고시 가산금 부과 등 페널티가 많다는 이야기를 듣고 급하게 세무사를 찾았다.

 

국세청이 발간한 세금절약가이드에 따르면, 상속으로 인해 재산을 취득한 상속인은 상속개시일(상속자의 사망일)

속한 달의 마지막날로부터 6개월 이내에 납세지 관할세무서장에게 상속세를 신고해야 한다.

기한 내 신고를 마칠 경우는 내야할 상속세의 3%를 공제받을 수 있다.

 

하지만 A씨의 경우처럼 신고기한을 훌쩍 넘기면 어떻게 될까.

 

상속세를 미신고할 경우 내야할 금액의 20%의 무신고가산세가 부과되며, 신고 누락으로 인한 납부지연 가산세

(1일당 0.022%)까지 물어야 한다.

만약 부정행위로 인한 미신고로 판단될 경우 무신고가산세율은 20%가 아닌 40%로 크게 는다.

 

신고할 금액보다 미달할 시에도 가산세가 부과된다.

미달 신고시에는 내야할 세금의 10%(부정행위로 인한 것이면 40%)의 부과되며, 납부지연으로 인한 가산세

(1일당 0.022%)도 내야 한다.

 

만약 사례의 A씨가 상속세를 정상신고했을 때와 16개월 뒤에서 신고했을 때 내야할 세금의 차이는 얼마일까.

 

기한 내 정상신고시에는 상속세 1000만원에서 3%이 세액공제가 되기에 970만원만 부과된다.

하지만 16개월 뒤 납부할 경우 납부세액(1000만원)에 무신고가산세 200만원(1000만원 X 20%),

납부지연가산세 803000(1000만원 X 365X 0.022%) 등을 모두 더한 12803000원을 내야한다.

 

결국 신고기한을 1년이나 넘긴 A씨는 원래 내야할 세금 970만원보다 약 32%(310만원)를 더 내게된 셈이다.

'생활법률과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퇴직금 중간 정산 사유  (0) 2024.03.27
부당행위계산 부인 개념  (0) 2024.03.26
간이과세 기준 상향 7월부터적용  (0) 2024.03.22
개정세법 시행(3월26일부터)  (0) 2024.03.21
사업자의 자격  (0) 2024.03.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