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에지혜

전안례(奠雁禮)

호사도요 2024. 4. 26. 12:55

전안례(奠雁禮)

 

정의=전통 혼례 때 신랑이 신부 부모에게 기러기를 드리는 의식.

 

역사

고대 중국의 주나라 또는 진나라, 나라에서는 기러기를 혼례에 사용했다고 짐작되는 내용이 후한後漢

백호통의白虎通義등에 기록되어 있다.

또한 백호통소증白虎通疏證을 보면 기러기는 양을 따르는 새로, 아내가 지아비를 따르는 의미가 있음을 알 수

있다[又是隨陽之鳥, 妻從夫之意也].

 

그러나 전안례의 풍속은 그 후 중국에서 사라지고, 오히려 한국에서 기러기가 혼례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되었다.

그러나 한국에서도 고조선을 거쳐 삼국시대에 이르기까지 돼지고기나 음식을 사용했다는 기록이있으나, 기러기를

사용했다는 기록은 볼 수가 없다.

조선시대에 전안례가 성행한 것은 사례편람四禮便覽을 통해 알 수 있다.

조선 초기에는 아마도 살아있는 기러기를 이용했겠지만, 점차 귀해진 탓으로 일반 서민들로서는 손에 넣기가 너무

힘들어 나무기러기를 조각하여 혼례에 사용했을 것이다.

 

신랑과 그 일행이 신부 집에 가는 것을 초행醮行이라 하는데, 이때 신랑이 신부 집에 들어가서 처음 행하는 것이

전안례奠雁禮이다.

이 전안례부터 의식의 절차가 복잡해지므로 절차를 적은 홀기笏記를 읽는 노인을 내세워 순서를 읽게 한다.

전안례를 위해서 신부 집에서는 미리 대문 안 적당한 곳에 멍석을 깔고 병풍을 두른 앞에 작은 상을 놓고, 상 위에

붉은 보자기를 덮어 놓는다.

이 상을 전안상이라 하며 전안상을 포함한 모든 시설을 준비해 놓은 곳을 전안청奠雁廳이라 한다.

신랑이 신부 집에 들어오면 전안청으로 안내한다.

홀기의 부름에 따라 신랑이 전안상 앞에 무릎을 꿇고 앉으면, 기러기를 들고 온 사람이 기러기를 신랑에게 들려준다.

신랑이 이것을 받아 상 위에 놓고 읍을 한 다음일어서서 큰 절을 두 번 한다.

신랑이 절을 하는 사이에 신부 어머니는 기러기를 치마로 받아들고 신부가 있는 안방에 던진다.

이때 기러기가 누우면 첫딸을 낳고, 일어서면 첫아들을 낳는다고 한다.

 

지역사례

강원도 정선에서는 신랑이 신부 아버지에게 기러기를 주고 이배二拜를 하면, 아버지는 기러기를 가지고 안으로 들어가

신부에게 전하고 신부는 나와 이배로 답례한다.

전라북도 순창에서는 기러기를 들고 온 사람이 신랑에게 기러기를 주면 신랑은 이것을 상에 놓고 진사배進三拜 퇴삼배

退三拜를 한다.

중부지역에서는 신랑이 기러기를 상에 놓고 북향사배北向四拜를 하면 그 사이에 신부 어머니가 절이 끝나기 전 모르는

사이에 치마로 받아 안방으로 가져간다.

 

전라남도 강진에서는 홀기에 따라 의식이 진행되는데 전안례 부분만 열거하면 다음과 같다.

신랑이 대반對盤의 안내를 받아 전안청 앞에 선다[替揖壻人]. 이때 중방이 기러기를 가져오면, 신랑은 기러기를 받아든다[從者奉雁授之壻].

이때 교배상交拜床이 아닌 작은 상을 전안상으로 마당 가운데 놓은 다음, 상 위에는 정화수를 놓고 뒤에는 임시로 병풍을 쳐 놓는다.

초도草島의 경우 전안상은 같은 모양이나 정화수 외에 쌀 한 사발을 놓는다.

신랑은 기러기를 들고 북쪽을 향하여 꿇어 않는다[壻執雁北向跪].

그런 다음 기러기를 상 위에 놓는다[置雁於地, 奉雁置于卓上].

기러기를 놓고 일어서서 북향재배를 한다[俛伏與再拜].

이로써 의례의 첫 부분인 전안지례가 끝난다.

이 지역은 기러기를 오리로 통칭한다. 이 밖에 여러 곳에서도 오리라고 표현한다.

 

순창 지방에서 행하는 전안지례는 다음과 같다.

신랑이 문전에 와서 말에서 내리면 팔머리대반이 신랑을 맞아 세 번 읍한다.

신랑도 역시 세 번 읍하여 답례하고 안상雁床으로 인도된다.

이때 안부雁夫가 신랑 앞에 가서 기러기를 주면 신랑이 받아서 안상에 놓고 진삼배進三拜 퇴삼배退三拜한다.

이때 신부 집 유모가 기러기를 안아다가 신부 앞에 놓는다.

이것을 전안례라 하며 친영親迎 중 제일 중요한 의례이다.

 

충청북도에서는 나무기러기를 상 위에 놓고 북향재배한다.

나무기러기를 받는 사람은 지방에 따라 다르다.

신부어머니가 받는 경우가 대부분인데 때로는 혼주나 깨끗한 남자가 받기도 한다.

 

특징 및 의의

생태학적으로 기러기는 한번 짝을 맺으면 평생을 함께하여 헤어지지 않는다고 한다.

이것은 평생 사랑을 지킨다는 뜻이다.

그래서 기러기를 사람에 빗대어 혼인을 하면 기러기처럼 평생을 사랑하고 다복하게 살라는 뜻으로 전안례를 하는 것이다. 그리고 또 다른 이유도 있다.

겨울에 기러기는 남쪽으로 날고 봄에는 북쪽으로 날아가는데, 이것은 음양에 순응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기러기처럼 음양의 도를 따라 양인 남자와 음인 여자가 마음을 합하여 하나가 되라는 뜻이 담겨 있기 때문이다.

전라북도에서는 기러기가 신의를 천성으로 지키는 새이므로 본받기 위해 전안례를 행한다고 한다.

경상남도에서는 기러기가 겨울철에는 남으로, 여름철에는 북으로 철을 따라 이동하는 수양조隨陽鳥이고, 한번 교미하면 한 쌍이 내내 같이 살아 깨끗한 정절을 상징하기 때문이라고 한다.

 

참고문헌

白虎通疏證, 白虎通義, 四禮便覽, 禮 記, 한국민속종합조사보고서-전남전북충남충북(문화공보부 문화재관리국, 1969~1975),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25(한국학중앙연구원, 1991), 한국의례의 연구(송재용, 제이엔씨, 2007), 한국인의 일생(이광규, 형설출판사, 1985),

'생활에지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모의 사랑  (0) 2024.05.10
은퇴 후 조건  (2) 2024.04.30
부자의 조건  (0) 2024.04.19
욕심 많은 여우  (0) 2024.04.13
대한민국 상위 1% 연봉  (0) 2024.03.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