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산행 몇급이나 될까??(산행에 대한 급수)
산행을 하기에 적합한 시절이 다가오는데 우리가 산을 얼만큼 알고 이해하며 산행을 하고 있는지 우스개 글이라고만
여기지 마시고 한번 읽어들 보세요...
8급 - 타의입산
휴일이면 TV리모컨을 쥐고 산다. 회사에서 결정된 산행에 어쩔수 없이 따라나선다.
<특징> 멀쩡한 하늘에서 갑자기 억수같은 비가 쏟아지기를.. 그래서 산행이 취소되기를 은근히 바라는 놀부심보.
7급 - 증명입산
산이 좋아서라기보단 사진 찍으러 간다. 애써 걷기보다 물좋고 경치좋으면 장소 안가리고 스태플러 찍듯 찰칵찰칵
사진 찍느라 정신이 없다.
<특징> 경관 좋은곳을 배경으로 증명사진 찍는 버릇. 그 사진을 산에 갔다왔다는 증거로 활용.
6급 - 섭생입산
오로지 먹기 위해서 산에 간다. 배낭 가득히 먹을 거리를 챙기고 계곡을 찾아 퍼질러 앉고는 음식을 탐한다.
<특징> 엄청 먹었는데도 음식의 절반 이상이 남아, 다시 지고 내려오며 “아~ 왜 요즘 이리도 입맛이 없을까” 한다.
5급 - 중도입산
산행을 하긴 하되 꼭 중도에서 하산한다. 그리고 제 다리 튼튼하지 못함을 탓하지 않고 꼭 뫼만 높다 탓한다.
<특징> “정상에 꼭 가야되나?
뭐 정상에 올라가면 누가 밀가루 배급이라도 준단 말이냐?”하며 자기합리화를 빠뜨리지 않는다.
4급 - 화초입산
줄곧 집에만 있다가 진달래, 철쭉꽃이 피는 춘삼월이나, 만산홍엽 불타는 가을이 되면 갑자기 산에 미친다.
<특징> 예쁜 꽃이나 단풍을 꼭 끼고 사진을 찍는다.
3급 - 음주입산
산을 좀 아는 인간이다. 그리고 산행을 마치면 꼭 하산주를 마셔야 산행이 완결된다며, 산을 열심히 찾는 이유가 성취감 뒤에 따르는 맛난 하산주 때문이라고 주장한다.
<특징> 술의 종류, 알콜도수, 값을 막론하고 그저 양만 많으면 된다는 두주불사형이 많다.
2급 - 선수입산
산을 마라톤 코스로 생각하고, 산을 몇 개 넘었다느니, 하루에 이렇게 많이 걸었다느니 하는걸 무지하게 자랑한다.
그러나 달리기 시합에 나가면 신통치 않다.
<특징> 이 인간을 따라 나서면 대개 굶게 된다. 먹을때도 번갯불에 콩구워 먹듯 해치우고 오로지 걷고 또 걷는다.
1급 - 무시입산
산행의 정신을 좀 아는 까닭에 비가 오나 눈이 오나 바람이 부나 제사가 있으나 아이가 아프나, 계획한 산행은 꼭 한다.
<특징> 폭풍이 몰아칠때 누군가 “오늘 산행 취소지요?”하고 물으면, “넌 비온다고 밥 안먹냐?”라고 말하면서 아예 쳐다
보지도 않는다. 단순무식이 돋보인다.
초단 - 야간입산
시간이 없음을 한탄하며 주말은 물론, 퇴근후 밤에라도 산에 오른다.
산에 가자고 하면 자다가도 벌떡 일어나는 산병 초기증세.
<특징> 산꼭대기에 오르면 지가 무슨 늑대라고 "아우~" 달을 보며 소리지르는 해괴한 모습을 가끔 보인다.
2단 - 면벽입산
바위타기를 즐겨, 틈도 없는 바위에 온몸을 비벼 넣으며, 바위가 애인인듯, 안고 할퀴고 버팅기고...
바위를 상대로 온갖 퍼포먼스를 한다.
<특징> 이쯤되면 대학졸업때까지 책 10권도 못봤단 말이 실감난다.
3단 - 면빙입산
날씨가 추워지기를 학수고대한다.
얼음도끼와 쇠발톱을 꺼내놓고 폭포가 얼어붙기를 축원하다가,
결빙소식만 들으면 만사 제쳐놓고 달려가 얼음에 몸을 던진다.
<특징> 빙판길에 가족이 넘어져 다쳐도 겨울은 추워야 한다고 박박 우긴다.
4단 - 합계입산
더 높고 어려운 산은 없나 눈에 불을 켠다.
산에 관한 정보를 찾으려 외국원서를 번역하며 평소 안하던 공부를 하기도 한다.
<특징> 산병 중증환자로서 간혹 '운수납자'(雲水衲子:탁발승을 멋스럽게 부르는 말) 흉내를 내어 고행길로 들어서
기도 한다.
5단 - 설산입산
드디어 설산인 히말라야로 떠나게 된다. 생즉필사(生卽必死), 사즉필생(死卽必生)이라...
알 듯 모를 듯 비장한 출사표를 내고 설산에 도전한다.
<특징> 설산으로 간다는 얘기는 들었는데, 돌아왔다는 소식이 없는 경우가 종종 있다.
6단 - 자아입산
드디어 산심을 깨닫고, 진정으로 넘어야 할 산은 마음속에 있음을 알게 된다.
따라서 무조건 높고 험한 산에 취해 잊고있던 '사람과 산'의 관계를 알게된다.
<특징> 국가에서 주는 훈장을 가끔 받는 경우가 있다.
그동안 집사람에게 찍혔던 '산에 대한 집념'이 비로소 결실을 거둔다.
7단 - 회귀입산
산의 본질적 의미는 자신을 발견하는데 있다는, 머리에 쥐나는 진리를 깨닫고,다시 우리나라의 낮은 산을 찾게 된다.
<특징> "걷는자만이 오를수 있다"는 지극히 쉬운 원리를 어렵게 깨우친 충격을 못이겨, 실실 웃는 하회탈 모습으로 평소
의 표정이 바뀐다.
8단 - 불문입산
"산 아래 산 없고 산 위에 산 없다"라는 평등 산사상의 경지에 이른다. 이정도면 입신의 경지라 할 수 있다.
<특징> 묻지마 관광처럼, 산에 오르는 이유를 묻지말라는 선문답을 하며 유유자적 산을 즐긴다.
9단 - 소산입산
작은 산도 엄청 크고 높게 보는 겸허한 안목이 생긴다. 작은 산을 즐겨찾으나, 죽어도 힘들어서 높은 산을 못올라간다는 말은 안한다.
<특징> 다리에 힘이 빠지는 것과 비례하여 입에 양기가 오른다. 남산정도의 산행을 끝내고도, 하산주를 마실때면 과거
를 회상하는 시간이 엄청 길어진다.
걸어서는 "입산금지" 꼭 누워서 입산하여 자연과 혼연일체 하여 "쌍봉산도 산이다" 라는 영원불멸의 진리를 깨우칠적에 비로소 산에 든다고 말할 수 있는게 아닐런지 ~~~
(퍼온글)
'건강한생활' 카테고리의 다른 글
[행안부 '걷기 좋은 길 베스트 10'] (0) | 2012.07.25 |
---|---|
'50대 이상 필수 검사'〈표〉 (0) | 2012.07.25 |
캠핑... 호젓하게 즐길 수 있는 가족캠핑장 22곳 (0) | 2012.07.20 |
수도권 26산연계 코스 (0) | 2012.07.20 |
콘도·펜션·전원주택이 우리 가족 `세컨드하우스`…생각보다 안 비싸네 (0) | 2012.07.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