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에지혜

유교의 역사와 사상

호사도요 2014. 1. 18. 13:27
유교의 역사와 사상

 

유교의 근본사상

 

 

 

 

 

 

 

 

 

 

 

 

 

 

 

 

 

 

 

 

공자에 의해 이룩된 종교?철학사상이다.
유학(儒學)ㆍ유도(儒道)ㆍ공교(孔敎)ㆍ공학(孔學)이라고도 한다.
유교의 근본사상은 인(仁)이다.
그런데 인이 무엇인가에 대한 공자의 답변은 일정하지 않았다.
제자들의 자질과 처지와 이해능력에 따라 그 깨우침을 열어주는 방향으로 답변을 해 준 까닭이다.

공부자(孔夫子)는 중국 춘추시대 말기의 대사상가ㆍ교육자이며, 유교의 개조(開祖)이자 성인(聖人)다. B.C. 551년에

나셨으며, B.C. 479년에 돌아가셨다.
공(孔)은 성이고 자(夫子)는 남자의 미칭으로 '선생'의 뜻이며, 이름은 구(丘), 자는 중니(仲尼)이다.

노(魯)나라 창평향 추읍(昌平鄕 추읍 ; 지금의 山東省 曲阜縣 남쪽 추현)에서 태어났다.

아버지는 숙량흘(叔梁紇), 어머니는 안징재(顔徵在)이다. 숙량흘이 60을 넘겨 공자를 얻었다 한다.

 

 

우리 유교의 역사

 

유교가 한국에 전래된 연대는 기록이 없어 확실하지 않으나 삼국시대 때, 당(唐)나라의 학제인 국학(國學)을 받아들인

때를 그 기원으로 삼는다.

즉 고구려는 372년(소수림왕 2)에 태학(太學)을 세웠으며, 백제는 국학을 세운 기록은 없으나 285년(고이왕 52)에 이미 왕인(王仁) 박사가 《논어》와 《천자문》을 일본에 전한 기록으로 보아 그 이전부터 유학이 전래된 것으로 추정된다.

신라에도 오래 전부터 전래된 것 같으나 국학의 건립은 훨씬 늦어 682년(신문왕 2)에야 실시되었다.

그 후 신라에서는 당나라에 유학생을 보내 학문을 장려하고 최치원(崔致遠)은 당나라 과거에 급제하여 이름을 떨쳤으며 설총(薛聰)은 이두(吏讀)를 창시하여 구경(九經)을 해석하였다.
그러나 당시의 유교는 유능한 관리를 양성하는 데 목적이 있었고, 부차적으로는 지도계급으로 하여금 경사(經史)에 통

하게 하고 사부(詞賦)와 문장을 능하게 하는 데 목적이 있었다.

고려시대에는 태조의 숭불정책(崇佛政策)으로 유교가 한때 부진하였다가 992년(성종 11)에 비로소 국자감(國子監)을

세웠고 문종 때는 최충(崔沖)이 9재(齋)를 설치하고 학도를 가르쳤다.

그러나 무관의 발호와 계속된 전란으로 유교는 240년간이나 다시 침체상태에 빠졌다가 제25대 충렬왕 때 안향(安珦)

이 왕을 따라 연경(燕京)에 다녀오면서 《주자전서(朱子全書)》를 입수해 온 후 정부에 건의하여 국학을 세우고 대성전(大成殿)을 건립하여 공자를 존숭하는 등 유교 부흥에 힘썼다. 그는 또한 한국에 주자학(朱子學:性理學)을 처음 수입하였으므로 주자학의 시조로 일컬어진다.
그의 문하에는 백이정(白燎正) ·우탁(禹倬) ·권부(權溥)등이 있어 모두 주자학 부흥에 힘썼으며, 그 학통은 고려 말의

이제현(李齊賢) ·이색(李穡) ·이숭인(李崇仁) ·정몽주(鄭夢周) 등에게로 전승되었다.

특히 그 중에서 정몽주는 성리학에 정통하고 도덕과경륜(經綸)에도 일가를 이루어 동방 이학(理學)의 조(祖)라 불린다. 조선시대에는 개국 초부터 태조의 숭유억불(崇儒抑佛) 정책으로 유교가 크게 발전하게 되었다.

유교의 기초를 처음으로 확립한 학자는 정도전(鄭道傳)이다.
그는 《불씨잡변(佛氏雜辨)》 등의 논설을 통하여 불교를 배척하고 유교를 숭상할 것을 주장하였으며, 같은 시대의 유학자 권근(權近)도 많은 저술로 이에 동조하였다.

한편 고려의 유신(儒臣) 길재(吉再)의 학통을 이어받은 김종직(金宗直)은 당대의 유종(儒宗)이 되었고, 그의 문인 김굉필(金宏弼) ·정여창(鄭汝昌)은 가장 유명하였으나 무오사화(戊午士禍)로 희생되었다.

다시 조광조(趙光祖)가 유도(儒道)의 정치를펴려 하였으나 기묘사화로 실패하고 많은 사류(士類)도 함께 화를 입었다. 이어 을사사화에는 이언적(李彦迪) ·노수신(盧守愼) 등의 거유(巨儒)가 유적(流謫)되었으며 거듭되는사화로 유학자들은 차차 벼슬을 단념하고 산림(山林)에 숨어 오로지 학문과 후진양성에 전념하게 되었다.

서경덕(徐敬德) ·조식(曺植) ·김인후(金麟厚) 등은 그 대표적 인물이라 할 수 있으며, 특히 서경덕은 종래 답습하여 오던 주자의 이기이원론에 대하여 중국 장횡거(張橫渠)의 태허설(太虛說)을 이어받아 기일원론(氣一元論)을 주장함으로써 한국 주기론(主氣論)의 선구자가 되었다.

그 후 명종 ·선조 때에는 많은 유학자가 배출되어 한국 성리학의 전성시대를 이루었다.

그 중에서도 이황(李滉:퇴계) ·이이(李珥:율곡)가 가장 뛰어나 이황을 ‘동방의 주부자(朱夫子)’, 이이를 ‘동방의 성인(聖人)’이라 할 만큼 그 학풍은 후대의 학자에게 큰 영향을 끼쳤다. 이황은 4단 7정(四端七情)의 이기이원론을 주장하여 많은 저술로써 이를 확립하였고, 그 학설은 일본에 전해져 야마자키 안사이[山崎闇齋]를 비롯한 여러 주자학자에게 지대한 영향을 끼쳐 동양사상에서 한국의 성리학이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게 하였다.

 

 

유교의 윤리사상

 

윤리란 사람이 마땅히 지켜야 할 도리를 말한다.
윤리에는 보편성과 특수성이 있다. 보편성(常道, 經)은 인류의 도덕적 원리로서 영원히 변치 않는 측면이다.

특수성(權)은 사회와 시대의 변화에 따라 변화되거나 될 수 있는 측면이다.

권(權)이란 저울질을 뜻하는데, 때에 저울 추가 왔다 갔다 하면서 적절하게 무게를 저울질하는 것을 말한다.

 

 

유교 윤리사상의 기본적인 항목

 

◆ 수기안인(修己安人)
나를 먼저 수양하고 남을 가르치며 사람을 널리 편안하게 하는 것이 유교의 근본 윤리이다.
『대학(大學)』의 팔조목(八條目) 가운데 격물ㆍ치지ㆍ성심ㆍ정의ㆍ수신(修身)은 수양에 해당하며, 제가(齊家)ㆍ치국(治國)ㆍ평천하(平天下)는 안인에 해당한다.
공자는 제자 자로가 군자에 대해 묻자, 군자는 "자기 수양을 해서 경건스러워야" 하며 "남을 편안히 해주어야" 하며 "백성을 편안하게 해주어야" 한다고 말했다. "修己而敬, 修己而安人, 修己而安百姓"

 

◆ 성경사상(誠敬)
성은 성실이고 경은 경건?공경이다.
중용에 "성은 하늘의 도리이고, 성(실)해지려고 하는 것은 사람의 도리"라는 구절이 있다.

하늘과 땅의 운행이치는 자로 잰듯 정확하며, 거짓됨 없는 성실 그것이다.

소우주(소우주)인 사람은 하늘의성을 본받고자 노력해야 한다.

 

◆ 경(敬)은 엄숙ㆍ순수의 뜻을 내포하고 있다.
마음을 엄숙하게 가다듬고, 잡념에 휩쓸려나간 본심을 거둬들이고, 착한 마음을 한결같고 확고하게 지닐 수 있어야한다.
성실성과 경건성은 서로 안팎이 됙도 하고 서로 밀고 당겨 보완하는 사이가 되기도 해서 개인윤리의 바탕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