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법원 2024. 4. 25. 선고 2022다254024 판결
[약정금][공2024상,841]
【판시사항】
준소비대차계약이 성립하려면 당사자 사이에 금전 기타의 대체물의 급부를 목적으로 하는 기존 채무가 존재하여야 하는지 여부(적극) 및 기존 채무가 존재하지 않거나 무효가 된 경우, 준소비대차계약의 효력(무효) / 준소비대차계약의 채무자가 기존 채무의 부존재를 주장하는 경우, 채권자가 기존 채무의 존재를 증명하여야 하는지 여부(적극)
【판결요지】
준소비대차계약이 성립하려면 당사자 사이에 금전 기타의 대체물의 급부를 목적으로 하는 기존 채무가 존재하여야 하고, 기존 채무가 존재하지 않거나 또는 존재하고 있더라도 그것이 무효가 된 때에는 준소비대차계약은 효력이 없다. 준소비대차계약의 채무자가 기존 채무의 부존재를 주장하는 이상 채권자로서는 기존 채무의 존재를 증명할 책임이 있다.
【참조조문】
민법 제605조, 민사소송법 제288조[증명책임]
【전 문】
【원고, 상고인】 원고 (소송대리인 법무법인 대한중앙 외 1인)
【피고, 피상고인】 피고 (소송대리인 변호사 이종필)
【원심판결】 서울고법 2022. 6. 17. 선고 (춘천)2021나614 판결
【주 문】
상고를 기각한다. 상고비용은 원고가 부담한다.
【이 유】
상고이유를 판단한다.
1. 추완항소의 적법 여부에 대한 판단
원심은 판시와 같은 이유로, 이 사건 소장 부본과 제1심판결 정본을 공시송달의 방법으로 송달받은 피고가 제1심판결의 존재를 알게 된 때로부터 2주 이내에 제기한 추완항소는 적법하다고 판단하였다.
원심판결 이유를 관련 법리와 기록에 비추어 살펴보면, 원심판단에는 상고이유 주장과 같이 추완항소에 대한 법리오해 등으로 판결에 영향을 미친 잘못이 없다.
2. 본안에 대한 판단
원심은 판시와 같은 이유로 다음과 같이 판단하였다.
준소비대차계약이 성립하려면 당사자 사이에 금전 기타의 대체물의 급부를 목적으로 하는 기존 채무가 존재하여야 하고, 기존 채무가 존재하지 않거나 또는 존재하고 있더라도 그것이 무효가 된 때에는 준소비대차계약은 효력이 없다. 준소비대차계약의 채무자가 기존 채무의 부존재를 주장하는 이상 채권자로서는 기존 채무의 존재를 증명할 책임이 있는데, 원고가 제출한 증거들을 종합하여 보더라도 피고가 원고에게 2억 1,200만 원을 지급하기로 하는 내용의 약정금 채무가 이 사건 준소비대차계약의 기존 채무로 존재하였음을 인정하기 어렵다.
원심판결 이유를 관련 법리와 기록에 비추어 살펴보면, 원심의 판단을 수긍할 수 있고 거기에 상고이유 주장과 같이 필요한 심리를 다하지 아니한 채 논리와 경험의 법칙에 반하여 자유심증주의의 한계를 벗어나거나 무효행위의 추인, 처분문서의 증명력 등에 관한 법리오해, 석명의무 위반 등으로 판결에 영향을 미친 잘못이 없다.
3. 결론
그러므로 상고를 기각하고, 상고비용은 패소자가 부담하도록 하여, 관여 대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오석준(재판장) 노정희(주심) 이흥구 엄상필
'일상과판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법원 2024. 5. 9.자 2024마5321 결정[채권압류및전부명령] (0) | 2024.07.08 |
---|---|
대법원 2024. 4. 12. 선고 2020두53224 판결[증여세부과처분취소] (0) | 2024.06.27 |
대법원 2024. 4. 12. 선고 2020두54265 판결[법인세취소청구]상속세 (1) | 2024.06.20 |
대법원 2024. 3. 28. 선고 2023다308911 판결[부당이득금] (0) | 2024.06.17 |
대법원 2024. 3. 28. 선고 2023다265700 판결[어음금] (0) | 2024.06.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