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에지혜

우리나라 도로 노선번호 지정체계및 관리 사용방법

호사도요 2012. 9. 24. 11:23

[우리나라 도로 노선번호 지정체계및 관리 사용방법]

노선번호만 알면 고속도로의 방향, 위치, 규모를 알 수 있다.

간선노선

남ㆍ북축 : 끝자리 '5' 부여 (예: 15, 25 … 65)

동ㆍ서축 : 끝자리 '0' 부여 (예: 10, 20 … 50)

 

보조간선노선

남ㆍ북축 : 끝자리 홀수 (17, 37 … )

동ㆍ서축 : 끝자리 짝수 (12, 22 … )

 

단거리지선 : 해당 간선축 또는 보조축에 맞추어 세자리 숫자로 표기

251(호남고속도로의 지선) ← 25(호남고속도로)

104(남해고속도로 제2지선) ← 10(남해고속도로)

 

대도시순환선 : 해당 지역 우편번호 첫 자리 + '00'사용

100(서울외곽순환고속도로) ← 100(서울특별시 우편번호)

경부고속도로는 우리나라 대표도로로서의 상징성을 감안하여종전과 같이 1번

노선번호 지정체계 

남북방향이며 15번 간선축 오른쪽에 있으므로 17번 번호 부여

동서방향이며 10번 간선축 위에 있으므로 12번 번호 부여

광주광역시 우편번호 500번 부여

기ㆍ종점

남ㆍ북방향 고속도로는 남쪽을 기점으로 하고 북쪽을 종점으로 함

동ㆍ서방향 고속도로는 서쪽을 기점으로 하고 동쪽을 종점으로 함

 

[주요 고속도로 노선번호 안내]

 

노선번호

  

노선명

 

구간

남ㆍ북축 노선
노선번호 1 경부선              부산 ~ 서울
노선번호 15 서해안선              목포 ~ 서울
노선번호 15 평택 ~ 화성선              목포 ~ 서울
노선번호 25 호남선, 논산 ~ 천안선              순천 ~ 천안
노선번호 15 순천 ~ 완주선              순천~완주
노선번호 35 중부선, 통영 ~ 대전선              통영 ~ 하남
노선번호 37 제2중부선              이천 ~ 하남
노선번호 45 중부내륙선              마산 ~ 남양주
노선번호 55 중앙선              부산 ~ 춘천
노선번호 65 동해선              부산~포항, 삼척 ~ 속초

 

 

동ㆍ서축 노선

노선번호 10 남해선              영암 ~ 부산
노선번호 12 무안 ~ 광주선, 88올림픽선              무안 ~ 광주, 광주 ~ 대구
노선번호 16 울산선              언양 ~ 울산
노선번호 20 익산 ~ 포항선              익산 ~ 포항
노선번호 30 당진 ~ 영덕선              당진 ~ 영덕
노선번호 40 평택 ~ 제천선              평택 ~ 제천
노선번호 50 영동선              인천 ~ 강릉
노선번호 40 서울 ~ 양양선              서울 ~ 춘천

 

 

순환선ㆍ지선

노선번호 100 서울외곽순환선 성남 ~ 성남
노선번호 102 남해 제1지선 함안 ~ 창원
노선번호 104 남해 제2지선 김해 ~ 부산
노선번호 110 제2경인선 인천 ~ 안양
노선번호 120 경인선 인천 ~ 서울
노선번호 130 인천국제공항선 인천 ~ 고양
노선번호 151 서천 ~ 공주선 서천 ~ 공주
노선번호 153 평택 ~ 시흥선 평택 ~ 시흥
노선번호 171 오산~화성선, 용인~서울선 오산 ~ 화성, 용인 ~ 서울
노선번호 253 고창 ~ 담양선 고창 ~ 담양
노선번호 300 대전남부순환선 대전 ~ 대전
노선번호 400 수도권제2순환선 봉담 ~ 동탄
노선번호 451 중부내륙선의 지선 달성 ~ 대구
노선번호 561 중앙선의 지선 김해 ~ 양산

 

[노선번호]

 

 

[도로의 종류와 관리청]

도로란 크게 자동차 전용도로와 일반도로로 구분할 수 있으며 자동차 전용도로는 말 그대로 자동차만이 통행할 수 있는 전용도로로서, 고속도로(고속국도)와 도시고속도로가 있다.

고속도로는 공기업인 한국도로공사가 건설·관리하는 도로와 민자사업자가 자본을 투입하여 건설·관리하는 도로로 구분되며, 도시고속도로는 서울특별시, 경기도, 부산광역시 등 지방자치단체에서 건설·관리하는 도로로 각 지방자치단체에 관리 책임이 있다.

한국도로공사는 한국도로공사법에 의거 고속국도를 건설·관리하고 있으며, 고속도로의 신설·확장을 통해 사회 간접 자본을 확충하고 장거리 이용 차량, 특히 산업 물동량 수송차량의 원활한 소통을 꾀함으로써 국가경제에 많은 기여를 하고 있다.

참고로, 일반도로는 한국도로공사가 관리하고 있는 고속도로와 엄연히 구분되는데도 많은 국민이 그 관리 한계를 혼동하고 있다. 일반도로에는 일반국도, 특별시도·광역시도, 지방도, 시도, 군도, 구도가 있으며 자동차와 사람, 자전거 등이 함께 이용할 수 있는 혼합도로가 있다.

고속도로의 일반적인 특성
  • 고속교통에 공용되는 유료도로
  • 자동차 전용도로로서 2륜차 및 사람 출입제한
  • 인터체인지에서만 진·출입가능
  • 타 시설과의 연계 제한
  • 고속도로간, 또는 타 도로와 연결시 특별한 사유가 없는 한 입체교차

[고속/민자/고속화도로]

고속도로

고속도로는 고속국도법 제2조(용어의 정의)에 의거 자동차 교통망의 중축부분을 이루는 중요한 도시를 연결하는 자동차전용의 고속교통에 속하는 도로로서 고속국도를 일컫는 용어이다.

도로

도로는 도로법 제2조(도로의 정의)의 규정에 이한 도로를 말하며, 도로법 제8조(도로의 종류와 등급)에 의거 다음의 7종으로 구분할 수 있다.
※ 고속국도, 일반국도, 특별시도·광역시도, 지방도, 시도, 군도, 구도

민자고속도로

민자고속도로는 한국도로공사가 건설 및 운영하는 고속도로와 구조 및 형식에서 차이가 없으나 고속도로의 건설 및 운영에 있어 '사회기반시설에 대한 민간투자법'과 동법시행령에 의하여 민간이 자본을 투자하여 건설 및 유지관리하는 고속도로를 말한다. 운영주체가 민간사업자이며 이에 따라 한국도로공사가 운영하는 노선과는 다른 통행요금 체제로 운영하고 있으며, 일정기간이 지난 후 국가에 운영권이 귀속된다.

고속화도로

고속화도로에 대한 명확한 법적 정의나 한계는 없으나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의미로 사용된다. 고속화도로는 도로법에 따른 도로의 분류에는 포함되지 않는 개념이지만, 일반적으로 도로법 제61조(자동차전용 도로의 지정)에 의하여 차량의 효율적인 운행을 위하여 지정된 도로(고속도로를 제외) 또는 도로의 일정한 구간중 일부를 고속화도로라 일컫는 경우가 많다.

고속화도로 역시 고속도로와 마찬가지로 건널목과 신호체계 없이 진출·입 차량의 직접적인 영향을 최소화시켜 운영되며, 제한 최고속도가 통상적으로 80 ~ 90km/h인 도로를 일컫는 경우가 많으며 특히, 도시부에 건설된 고속화도로를 도시고속화도로라 일컫는다.

 

고속화도로(자동차전용도로)는 도로관리청이 국토해양부장관, 지자체장 등으로 구분되며, 대표적인 노선은 서울의 올림픽대로, 북·동·서부간선도로, 분당-내곡도시고속도로 등이 있다.

 

[도로의 법적 구분체계]

도로의 법적 구분체계

 

법적근거 구분체계 도로의 구분
도로법 관리주체별

 

고속국도, 일반국도, 특별시도·광역시도, 지방도,
시도, 군도, 구도

 

도로의 구조 및
시설기준에 관한 규칙
  기 능 별

고속도로(도시고속도로), 일반도로(주간선도로,
보조간선도로, 집산도로, 국지도로)

 

 

도시계획 시설의
결정·구조 및
설치기준에 관한 규칙

 사용형태별

일반도로, 자동차전용도로, 보행자전용도로,
자전거전용도로, 고가도로, 지하도로

 

  규 모 별 광로, 대로, 중로, 소로 => 1류, 2류, 3류
  기 능 별

 

주간선도로, 보조간선도로, 집산도로, 국지도로, 특수도로

 

 

 

출처 : 한국도로공사

'생활에지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여행준비  (0) 2012.10.29
정원은 내손으로  (0) 2012.10.03
삼국시대연대표  (0) 2012.09.20
朝鮮 歷代 王朝表  (0) 2012.09.18
사서(四書).삼경(三經)과 호(號)와 자(字)  (0) 2012.09.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