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예회손 과 모욕죄
음식점을 운영하는 장금이 사장님은 오늘 낮에 겪은 진상 고객과의 분쟁 때문에 밤늦도록 분이 풀리지 않았다.
속상한 마음에 지역구 외식업자끼리 모여 친목을 다지는 온라인 커뮤니티에 하소연과 함께 짤막한 욕설을 남겼다. 그
런데 얼마 후 ‘이렇게 하면 명예훼손죄로 고소를 당할 수 있다’는 댓글이 달렸고, 장 사장님은 덜컥 겁이 나기 시작했다.
언쟁 중에 상대방이 일방에게 남이 들을 수 없는 소리로 “미친 XX 놈”이라고 저질스러운 막말을 하였고 이를 일방이 녹음
하였다면 형법상 모욕죄로 처벌할 수 있을까?
‘모욕’의 정의
모욕의 의미에 대해서는 굳이 설명할 필요가 없겠지만 사전적으로는 ‘남을 깔보고 욕되게 함’으로 정의되어 있고
(네이버 국어사전), 법률적으로는 ‘사실을 적시하지 아니하고 사람의 사회적 평가를 저하시킬 만한 추상적 판단이나 경멸적
감정을 표현하는 것’을 의미한다(2016도9674 판결 등). 사실이든 허위 사실이든 사실을 적시하여 명예를 훼손하였다면 형법상
명예훼손죄에 해당하게 된다.
‘공연히’ 모욕한 자에 한해 처벌
그런데 관련 법 조항인 형법 제311조(모욕)는 ‘공연히 사람을 모욕한 자는 1년 이하의 징역이나 금고 또는 200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라고 하여 단순히 ‘사람을 모욕한 자’가 아니라 ‘공연히’ 사람을 모욕한 자에 한해 처벌을 하도록 규정하고 있어 형법상 ‘공연히’의 의미가 궁금할 수밖에 없다.
관건은 ‘다수에게 전파할 가능성’ 여부
‘공연히’의 사전적 의미는 ‘세상에서 다 알 만큼 뚜렷하고 떳떳하게’라고 되어 있지만, 판례가 일관되게 정의하는 ‘공연히’는 ‘공연성’이라고 하여, ‘불특정 또는 다수인에게 전파 또는 유포할 개연성(가능성)이 있는 상태’를 의미한다.
다시 말하면, 모욕 가해자가 피해자 이 외에 한 명이 듣는 자리에서 피해자를 모욕하였더라도 그 한 명이 불특정 또는 다수인에게 전파할 가능성이 있다면 모욕죄가 성립하는 것이고, 피해자와 그 한 명이 너무나 친밀하여 전파할 가능성이 없다면 공연성이 없다는 이유로 모욕죄가 성립하지 않는 것이다.
정보통신망 발달로 인해 처벌 가능성 높아져
최근에는 다수의 모욕이나 명예훼손적인 글들이 인터넷 댓글 등 정보통신망을 통해 이뤄지고 있다. 이럴 경우 아주 협소한 특수관계자들 사이의 비밀 채팅방이 아닌 이상은 대부분 전파가능성과 공연성이 인정될 것이기 때문에 유죄로 처벌될 가능성 또한 높다는 점을 잊어서는 안 된다.
정보통신망을 통한 모욕적 표현은 형법으로, 명예훼손적 글들은 비방의 목적이 있었는지를 따져 형법 또는 ‘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에 따라 처벌되고 있다.
대법원 2016. 10. 13. 선고 2016도9674 판결
[업무방해·폭행·모욕][공2016하,1741]
【판시사항】
모욕죄의 보호법익(=외부적 명예) 및 ‘모욕’의 의미 / 모욕죄가 성립하기 위하여 피해자의 외부적 명예가 현실적으로 침해되거나 구체적·현실적으로 침해될 위험이 발생하여야 하는지 여부(소극)
【판결요지】
모욕죄는 공연히 사람을 모욕하는 경우에 성립하는 범죄로서(형법 제311조), 사람의 가치에 대한 사회적 평가를 의미하는 외부적 명예를 보호법익으로 하고, 여기에서 ‘모욕’이란 사실을 적시하지 아니하고 사람의 사회적 평가를 저하시킬 만한 추상적 판단이나 경멸적 감정을 표현하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모욕죄는 피해자의 외부적 명예를 저하시킬 만한 추상적 판단이나 경멸적 감정을 공연히 표시함으로써 성립하므로, 피해자의 외부적 명예가 현실적으로 침해되거나 구체적·현실적으로 침해될 위험이 발생하여야 하는 것도 아니다.
【참조조문】
【참조판례】
대법원 1987. 5. 12. 선고 87도739 판결(공1987, 1018)
대법원 2003. 11. 28. 선고 2003도3972 판결(공2004상, 84)
대법원 2015. 12. 24. 선고 2015도6622 판결
【전 문】
【피 고 인】피고인
【상 고 인】피고인 및 검사
【변 호 인】변호사 김미혜
【원심판결】춘천지법 2016. 6. 9. 선고 2016노288 판결
【주 문】
원심판결을 파기하고, 사건을 춘천지방법원에 환송한다.
【이 유】
상고이유를 판단한다.
1. 피고인의 상고이유에 관하여
원심판결 이유를 기록에 비추어 살펴보면, 원심이 그 판시와 같은 이유로 피고인의 심신미약에 관한 주장을 배척한 것은 정당하다. 거기에 상고이유 주장과 같이 심신장애에 관한 사실오인 내지 법리오해의 잘못이 없다.
그리고 형사소송법 제383조 제4호에 의하면 양형부당을 사유로 한 상고는 사형, 무기 또는 10년 이상의 징역이나 금고가 선고된 사건에서만 허용된다. 피고인에 대하여 그보다 가벼운 형이 선고된 이 사건에서 형이 너무 무거워 부당하다는 취지의 주장은 적법한 상고이유가 되지 못한다.
2. 검사의 상고이유에 관하여
가. 이 사건 공소사실 중 모욕의 점은, 피고인이 2015. 1. 1. 09:00경부터 같은 날 09:30경까지 서울 영등포구 영등포동에 있는 공소외 1 운영의 ‘○○○순대국집’ 식당에서, 위 식당 영업 업무를 방해하고 위 공소외 1에게 폭행을 하던 중 112 신고를 받고 출동한 영등포경찰서 중앙지구대 소속 경장인 피해자 공소외 2로부터 제지를 당하자 위 식당의 업주와 성명불상의 손님들이 있는 가운데 피해자에게 큰 소리로 “젊은 놈의 새끼야, 순경새끼, 개새끼야.”, “씨발 개새끼야, 좆도 아닌 젊은 새끼는 꺼져 새끼야.”라고 욕설하는 등 공연히 피해자를 모욕하였다는 것이다.
이에 대하여 원심은, 피고인이 경찰관으로부터 소란 행위를 제지당하자 화가 나 분노를 표출하는 과정에서 단순 욕설을 반복한 것에 불과하여 이러한 표현이 국가기관인 경찰이 아닌 사인으로서의 경찰관 개인의 외부적 명예를 저하시켰다거나 피고인에게 모욕의 고의가 있었다고 평가하기 어렵고, 당시 식당 앞에 있던 사람들은 경찰관들이 그곳에 출동한 경위, 피고인이 경찰관들의 정당한 직무집행에 반항하며 욕설을 한 전후 사정을 알고 있었으므로 이들이 피고인의 욕설로 인하여 피해자인 경찰관 개인의 인격적 가치에 대해 부정적인 평가를 할 위험은 없다는 등의 이유로 이 부분 공소사실을 유죄로 인정한 제1심판결을 파기하고 무죄를 선고하였다.
나. 그러나 원심의 판단은 다음의 이유로 수긍하기 어렵다.
1) 모욕죄는 공연히 사람을 모욕하는 경우에 성립하는 범죄로서(형법 제311조), 사람의 가치에 대한 사회적 평가를 의미하는 외부적 명예를 보호법익으로 하고, 여기에서 모욕이란 사실을 적시하지 아니하고 사람의 사회적 평가를 저하시킬 만한 추상적 판단이나 경멸적 감정을 표현하는 것을 의미한다(대법원 1987. 5. 12. 선고 87도739 판결, 대법원 2003. 11. 28. 선고 2003도3972 판결 등 참조). 그리고 모욕죄는 피해자의 외부적 명예를 저하시킬 만한 추상적 판단이나 경멸적 감정을 공연히 표시함으로써 성립하는 것이므로 피해자의 외부적 명예가 현실적으로 침해되거나 구체적·현실적으로 침해될 위험이 발생하여야 하는 것도 아니다.
2) 그런데 원심판결 이유와 증거에 의하면, 피고인이 원심판시 식당에서 영업 업무를 방해하고 식당 주인을 폭행하던 중 식당 주인 부부, 손님, 인근 상인들이 있는 공개된 위 식당 앞 노상에서 112 신고를 받고 출동한 경찰관인 피해자를 향해 “젊은 놈의 새끼야, 순경새끼, 개새끼야.”, “씨발 개새끼야, 좆도 아닌 젊은 새끼는 꺼져 새끼야.”라는 욕설을 한 사실을 알 수 있다.
3) 위와 같은 피고인의 발언 내용과 그 당시의 주변 상황, 경찰관이 현장에 가게 된 경위 등을 종합해 보면, 당시 피고인은 업무방해와 폭행의 범법행위를 한 자로서 이를 제지하는 등 법집행을 하려는 경찰관 개인을 향하여 경멸적 표현을 담은 욕설을 함으로써 경찰관 개인의 인격적 가치에 대한 평가를 저하시킬 위험이 있는 모욕행위를 하였다고 볼 것이고, 이를 단순히 당면 상황에 대한 분노의 감정을 표출하거나 무례한 언동을 한 정도에 그친 것으로 평가하기는 어렵다. 그리고 설사 그 장소에 있던 사람들이 전후 경과를 지켜보았기 때문에 피고인이 근거 없이 터무니없는 욕설을 한다는 사정을 인식할 수 있었다고 하더라도, 그 현장에 식당 손님이나 인근 상인 등 여러 사람이 있어 공연성 및 전파가능성도 있었다고 보이는 이상, 피해자인 경찰관 개인의 외부적 명예를 저하시킬 만한 추상적 위험을 부정할 수는 없다고 할 것이다.
4) 그럼에도 원심은 그 판시와 같은 이유로 이 부분 공소사실을 무죄로 판단하였으니, 거기에는 모욕의 의미 및 모욕죄의 보호법익과 법적 성질에 관한 법리를 오해하는 등으로 판결에 영향을 미친 잘못이 있다. 이를 지적하는 취지의 상고이유 주장은 이유 있다.
3. 결론
원심판결 중 유죄 부분에 대한 피고인의 상고는 이유 없지만, 무죄 부분인 모욕의 점은 파기되어야 할 것인데, 원심이 유죄로 인정한 각 죄와 무죄로 선고한 위 부분은 형법 제37조 전단의 경합범 관계에 있어 하나의 형을 선고하여야 하므로, 원심판결 전부를 파기하고, 사건을 다시 심리·판단하도록 원심법원에 환송하기로 하여, 관여 대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생활법률과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일자리 안정자금 지원 대상 (0) | 2018.02.08 |
---|---|
일자리 안정자금이란 (0) | 2018.02.07 |
동거봉양 과 세금 (0) | 2018.01.31 |
자금출처조사 소명 방법 (0) | 2018.01.30 |
달라지는 소득세,상속, 증여세 (0) | 2018.01.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