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판례 1597

대법원 2024. 10. 31. 선고 2024다232523 판결[소유권이전등기말소등]소멸시효 완성

대법원 2024. 10. 31. 선고 2024다232523 판결[소유권이전등기말소청구등]〈소유권이전등기청구권의 소멸시효 완성 후 이루어진 소유권이전등기에 대하여 원인무효임을 이유로 말소를 구할 수 있는지 여부가 문제된 사건〉[공2024하,1867] 【판시사항】[1] 등기가 실체관계에 부합한다고 하는 것의 의미 및 원인 없이 이루어진 무효의 소유권이전등기라고 하더라도 그 등기가 다른 사정에 의하여 실체관계에 부합하게 되면 유효한 것이 되는지 여부(적극)[2] 소멸시효에서 시효기간 만료의 효과 및 시효의 이익을 받는 자가 소송에서 소멸시효의 주장을 하지 않은 경우, 그 의사에 반하여 재판할 수 있는지 여부(소극) / 소멸시효 완성으로 소유권이전등기청구권이 소멸한 상태에서 소유권이전등기가 이루어졌고 그 시효의..

부동산판례 2025.01.06

대법원 2024. 10. 31. 선고 2024다255328 판결[소유권말소등기]

대법원 2024. 10. 31. 선고 2024다255328 판결[소유권말소등기][공2024하,1871] 【판시사항】구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상 토지거래계약 허가구역 내의 토지에 관하여 허가를 배제하거나 잠탈하는 내용으로 체결된 매매계약의 효력(=확정적 무효) 및 그 후 해당 토지가 토지거래계약 허가구역의 지정에서 해제되고 매매계약 당사자들이 기존 매매계약이 무효임을 알면서 이를 추인한 경우, 매매계약이 추인한 때로부터 유효하게 되는지 여부(적극)【판결요지】구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2016. 1. 19. 법률 제13782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상 토지거래계약 허가구역 내의 토지에 관하여 허가를 배제하거나 잠탈하는 내용으로 매매계약이 체결된 경우에는 위 법 제118조 제6항에 따라 그..

부동산판례 2025.01.02

대법원 2024. 10. 8. 선고 2024다241510 판결[소유권이전등기]

대법원 2024. 10. 8. 선고 2024다241510 판결[소유권이전등기]〈개정 「공익사업을 위한 토지 등의 취득 및 보상에 관한 법률」의 적용에 따른 환매권 발생 여부가 문제된 사건〉[공2024하,1759] 【판시사항】[1] 헌법불합치 결정에 따른 개선입법의 적용 범위가 헌법불합치결정 당시의 시점까지 소급하는지 여부(원칙적 적극)[2] 2021. 8. 10. 법률 제18386호로 개정된 ‘공익사업을 위한 토지 등의 취득 및 보상에 관한 법률’ 제91조 제1항의 적용 범위가 같은 법 부칙(2021. 8. 10.) 제3조를 근거로 제한될 수 있는지 여부(소극) / 구 ‘공익사업을 위한 토지 등의 취득 및 보상에 관한 법률’ 제91조 제1항 중 환매권의 발생기간을 제한하고 있는 ‘토지의 협의취득일 또는 ..

부동산판례 2024.12.19

대법원 2024. 10. 8. 선고 2023다210991 판결[부당이득금]주택재개발

대법원 2024. 10. 8. 선고 2023다210991 판결[부당이득금]〈주택재개발정비사업 정비구역에 포함된 국·공유재산 중 일반재산을 점유·사용한 사업시행자에 대한 변상금 부과처분이 당연무효인지 여부가 문제된 사건〉[공2024하,1752]  【판시사항】[1] 국유재산 또는 공유재산에 대한 점유나 사용·수익을 정당화할 법적 지위에 있는 자에 대하여 이루어진 변상금 부과처분의 효력(당연무효)[2] 사업시행계획상 정비구역에 포함된 일반재산이 사업시행자에게 양도되는 것으로 예정되어 있는 경우, 사업시행자는 사업시행인가가 이루어진 때부터 그 일반재산에 대한 사용·수익을 정당화할 법적 지위에 있다고 보아야 하는지 여부(원칙적 적극)【판결요지】[1] 국유재산법 제72조 제1항 본문, 제2조 제9호, 공유재산 및 ..

부동산판례 2024.12.18

대법원 2015. 5. 29. 선고 2012다84370 판결[임대차보증금반환]

대법원 2015. 5. 29. 선고 2012다84370 판결[임대차보증금반환][공2015하,852] 【판시사항】[1] 부동산 매수인이 매매목적물에 관한 임대차보증금 반환채무 등을 인수하면서 채무액을 매매대금에서 공제하기로 약정한 경우, 채무인수의 법적 성질[2] 임차인의 행위가 임대차보증금 반환채무의 면책적 인수에 대한 묵시적 승낙의 의사표시에 해당하는지 판단하는 방법【판결요지】[1] 부동산의 매수인이 매매목적물에 관한 임대차보증금 반환채무 등을 인수하는 한편 그 채무액을 매매대금에서 공제하기로 약정한 경우, 그 인수는 특별한 사정이 없는 이상 매도인을 면책시키는 면책적 채무인수가 아니라 이행인수로 보아야 하고, 면책적 채무인수로 보기 위해서는 이에 대한 채권자 즉 임차인의 승낙이 있어야 한다.[2] 임..

부동산판례 2024.12.17

대법원 2024. 10. 8. 선고 2024다257362 판결[부당이득금]주택조합

대법원 2024. 10. 8. 선고 2024다257362 판결[부당이득금]〈주택법상 지역주택조합의 조합장이 조합규약이나 총회 결의 없이 보수를 지급받은 경우 부당이득 성립 여부 및 그 보수 지급이 도의관념에 적합한 비채변제인지 여부가 문제된 사건〉[공2024하,1766]\ 【판시사항】[1] 주택법에 따라 설립된 주택조합 재산의 소유관계(=조합원 전원의 총유) 및 그 관리·처분 방법[2] 당사자 일방이 자신의 의사에 따라 일정한 급부를 한 다음 그 급부가 법률상 원인 없음을 이유로 반환을 청구하는 이른바 급부부당이득의 경우, 급부 자체가 급부수령자의 이익 및 급부자의 손해를 구성하는지 여부(적극)[3] 민법 제744조에서 정한 도의관념에 적합한 비채변제에서 변제가 도의관념에 적합한 것인지 판단하는 기준 및..

부동산판례 2024.12.16

서울행법 2024. 7. 23. 선고 2023구합56415 판결[종부세부과처분취소]

서울행법 2024. 7. 23. 선고 2023구합56415 판결[종합부동산세등부과처분취소] 확정[각공2024하,474] 【판시사항】이미 주택을 소유하고 있던 갑이 2021. 4. 26. 피상속인인 모의 주택에 관하여 협의분할에 의한 상속을 원인으로 한 소유권이전등기를 마친 후 2021. 6. 14. 상속받은 주택을 타인에게 매도 후 소유권이전등기를 마쳐주었는데, 관할 세무서장이 종합부동산세 과세기준일(2021. 6. 1.) 기준 기존 주택과 상속받은 주택을 갑의 종합부동산세 과세대상 주택으로 포함하여 종합부동산세 등을 결정·고지한 사안에서, 구 종합부동산세법 제8조 제1항 및 구 종합부동산세법 시행령 제4조의2 제3항 등에서 상속으로 일시적, 우발적으로 2주택을 소유하게 된 납세의무자에 대하여 예외규정을..

부동산판례 2024.12.12

수원지방법원 2024. 6. 5. 선고 2022나72946 판결[임대차보증금]

수원지방법원 2024. 6. 5. 선고 2022나72946 판결[임대차보증금][미간행]  【전 문】【원고, 피항소인】 원고 1 외 1인 (소송대리인 법무법인 현답 담당변호사 장심건)【피고, 항소인】 피고 (소송대리인 변호사 윤석기) 【변론종결】2024. 5. 8.【제1심판결】 수원지방법원 안산지원 2022. 5. 27. 선고 2021가단93215 판결 【주 문】1. 이 법원에서 감축 및 확장된 청구를 포함하여 제1심판결을 다음과 같이 변경한다.원고들의 청구를 모두 기각한다.2. 소송 총비용은 원고들이 부담한다.【청구취지 및 항소취지】1. 청구취지피고는 원고들에게 각 46,189,286원 및 위 각 돈 중 각 35,530,000원에 대하여 2022. 5. 28.부터 다 갚는 날까지 연 12%의 비율로 계산..

부동산판례 2024.12.11

대법원 2024. 10. 8. 선고 2023다236337 판결[수익금배분청구의소]〈집합건물의 구분소유자

대법원 2024. 10. 8. 선고 2023다236337 판결[수익금배분청구의소]〈집합건물의 구분소유자들이 관리단을 상대로 공용부분에서 발생한 수익금의 지급을 구하는 사건〉[공2024하,1757]【판시사항】집합건물의 구분소유자가 공용부분에서 생긴 수익금을 보관하고 있는 관리단을 상대로 그 수익금 중 자신의 지분 비율에 상당하는 부분을 지급해 달라고 청구할 수 있는지 여부(원칙적 적극) / 관리단집회의 결의나 규약으로 공용부분 관리비용 등 관리단의 사무집행을 위한 비용과 분담금 등을 각 구분소유자에게 청구·수령하고 관리하는 방식에 관하여 정하면서 공용부분에서 생기는 수익금을 이러한 비용이나 분담금 등에 충당하기로 한 경우, 관리단은 그러한 방식과 절차에 따라 공용부분에서 생긴 수익금을 분배할 수 있는지 여..

부동산판례 2024.12.09

대법원 2024. 5. 30. 선고 2024다214808 판결[가등기말소][미간행]

대법원 2024. 5. 30. 선고 2024다214808 판결[가등기말소][미간행] 【판시사항】교환계약에서 교환목적물이 반드시 계약 체결 당시에 구체적으로 특정되어 있어야 하는지 여부(소극) 및 이를 나중에라도 구체적으로 특정할 수 있는 방법과 기준이 정해져 있으면 충분한지 여부(적극) 【참조조문】민법 제596조【참조판례】대법원 1986. 2. 11. 선고 84다카2454 판결(공1986, 437)대법원 1996. 4. 26. 선고 94다34432 판결(공1996상, 1667)대법원 2020. 4. 9. 선고 2017다20371 판결(공2020상, 895)【전 문】【원고, 피상고인】 망 소외인의 소송수계인 원고 1 외 1인 (소송대리인 법무법인 원곡 담당변호사 조영신 외 1인)【피고, 상고인】 피고 (소..

부동산판례 2024.12.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