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세제. 1446

주택 취득세 중과세 제도

주택 취득세 중과세 제도  2020.7.10.부동산 대책에 따라 2020.8.12.이후부터는 법인이 주택을 취득하거나 1세대가 조정대상지역내 2주택 이상 또는 그 외 지역내 3주택이상을 취득하게 되는 경우, 취득세가 최대 12배까지 중과세 될 수 있으므로 주택 취득시 세대 및 보유주택 수 판단을 확실히 한 후 주택 취득을 해야 큰 낭패를 보지 않습니다. 중과세율이 적용되는 주택매매의 경우, 주택 수는 취득자의 보유주택수를 기준으로 하며 조정대상지역내(3억원 이상) 주택증여의 경우에는 증여자를 기준으로 1세대 1주택자가 소유주택을 배우자 · 직계존비속에게 증여한 경우에만 3.5% 적용하고 그 외의 경우에는 12%적용합니다. 다만, 정부에서는 2022년말 취득세 중과세 완화를 주요골자로 하는 취득세 개정(안..

부동산세제. 2024.08.27

양도세· 취득세 절세

양도세·취득세 절세  1주택인 줄 알고 팔았는데 양도세 ‘폭탄’… 모르면 손해 부동산 세금주택 거래 증가로 부동산 세금 궁금증 늘어양도세·취득세 모르면 수억원 손해볼 수도생애 첫 구매시 취득세 300만원까지 공제1주택·일시적 2주택 양도세 비과세 요건 까다로워 지난해 12억원에 아파트를 판 김모(58)씨는 올해 양도소득세 1억4000만원을 냈다. 매도 시점에 ‘1가구 1주택’ 비과세 혜택을 받아 양도세를 내지 않을 것으로 예상했지만, 세금 폭탄을 맞은 것이다. 이씨는 2022년 보유하고 있던 소형 아파트를 20대 아들에게 증여하고 세대분리까지 마쳤다. 그런데 과세 당국은 김씨를 1가구 2주택자로 봤다. 대학생인 자녀가 대학 주변에서 자취하고 있지만, 여전히 김씨에게 경제적으로 의존하면서 주말이나 방학엔 ..

부동산세제. 2024.08.21

양도세와 필요경비

양도세와 필요경비 부동산을 매각하는 과정에서 양도차익이 발생하면 양도소득세를 납부하여야 하며, 양도차익은 양도가액에서 취득가액, 자본적 지출액 및 양도비 등을 차감하여 계산한다. 일반적으로 취득가액은 취득 당시 매매계약서, 취·등록세 영수증, 법무사수수료 영수증 및 중개수수료 영수증 등의 증명서류를 제출하면 인정받을 수 있다. 양도소득세 계산 시 공제되는 비용으로는 취득비용, 양도비용, 자본적 지출액 등 세가지가 있다.  취득비용 취득비용에는 부동산을 취득하는 과정에서 지출된 취득세, 등록세, 농어촌특별세와 지방교육세가 해당된다. 만일 취득세와 등록세 영수증을 분실한 경우 동사무소에서 납세증명서를 발급받아 제출하면 되고, 납세증명서 발급이 어려운 경우 보통 등기권리증에 첨부된 검인계약서를 바탕으로 당시 ..

부동산세제. 2024.08.19

신축 주택 세금

신축 주택 세금   구 분정 의취득세과세대상- 주택을 신축하는 경우세 율- 취득가액의 2%중과세율- 중과세율 : 10%- 적용대상 : 고급주택- 고급주택의 정의① 연면적 331㎡(약100평) 초과로서 시가2,500만원 초과하는 주택② 대지연면적 662㎡(약200평) 초과로서 시가2,500만원 초과 하는주거용 건물③ 엘리베이터,에스컬레이터 또는 67㎡(약20평) 이상의 풀장 중1개 이상 있는 주거용 건축물납부방법- 집을 취득한 날로부터 30일 이내 해당 행정기관에 납부.과태료- 납부기간을 넘기면 세액의 20%를 더 내야 함.감면대상- 건축주가 공동주택과 임대주택,조합주택을 건축한 경우- 전용면적 40㎡(12평)이하의 공동주택 및 임대주택을 최초로분양받아 소유권이전 등기시, 취득세 전액면제- 전용면적 40㎡..

부동산세제. 2024.08.16